국제유가·공공요금 상승 따른 '이차 파급효과' 주목
"기대인플레도 물가 둔화 더디게 만들 수 있어"
23일 서울 시내 한 건물에 전기계량기가 설치되어 있다. 2023.2.23/뉴스1 ⓒ News1 김도우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김유승 기자 = 한국은행이 지난 2월 올해 소비자물가 전망을 기존보다 0.1%포인트(p) 내린 3.5%로 전망했지만 연일 "물가 둔화 속도가 더딜 수 있다"며 불확실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특히 한은은 국제 유가와 공공요금이 오를 경우 다른 물가까지 함께 끌어올리는 '연쇄 작용'에 주목하고 있다.
한은은 지난달 수정 경제 전망에서 올해 우리나라 소비자물가 전망치를 기존 3.6%에서 3.5%로 내렸다. 여기에는 올해 국제유가 전망치(두바이유 기준·배럴당 84달러 전제)가 지난해(배럴당 97달러)보다 상당 폭 낮아진 점이 작용했다.
한은은 두 달 연속 5.0%로 둔화세를 나타내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 1월 5.2%로 반등한 것과 달리, 2월과 3월에는 지난해 국제유가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 등이 반영되면서 상당 폭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한은은 물가 불확실성에 대해선 이전보다도 더 경계하고 있다. 중국의 리오프닝과 우크라이나 사태 전개에 따라 고유가 행진이 언제든 다시 재현될 수 있고, 전기·도시가스 요금 등 공공요금 인상 시기와 폭 역시 가늠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한은이 이보다 더 주목하는 건 이들 가격 인상 효과가 다른 품목에도 영향을 끼쳐 전체 물가까지 끌어올리는 일종의 '연쇄 작용'이다. 한은이 제시한 경로는 국제 유가·공공요금 상승이 △다른 품목의 가격을 높이는 '이차 파급효과'와 △기대인플레이션을 통해 물가 상승을 부추기는 상황 두 가지다.
한은은 지난 2일 보고서를 통해 "향후 국제유가 및 공공요금 상승 폭이 확대될 경우 생산 원가 상승을 통해 여타 재화 및 서비스 가격에 대한 이차 파급 영향이 나타날 수 있다"며 "근원물가(식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물가)에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봤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공공요금이 오르면 생산 원가가 높아져 판매자들이 물건 가격을 높여야 한다고 생각하게 된다"며 "결국 모든 가격이 다 오르게 된다"고 설명했다.
실제 한은은 지난달 수정 경제 전망에서 올해 근원물가 전망치를 기존 2.9%에서 0.1%p 올린 3.0%로 전망했는데, 여기에는 최근의 가스·전기요금 인상의 이차 파급 효과가 반영됐다고 밝혔다.
21일 서울 시내 전통시장에 물가 상승으로 여러번 수정된 가격 인상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3.2.21/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은이 주목하는 또다른 경로는 국제 유가와 공공요금 인상이 기대인플레이션을 높여 전체 물가를 끌어올리는 상황이다.
기대인플레이션은 소비자들의 향후 1년 물가 상승률 전망을 나타낸다. 높아질 경우 물가 인상에 대비한 경제 주체들의 실제 행동이 나타나고, 이것이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어 중요 경제 지표로 취급된다.
기대인플레이션은 지난해 7월 4.7%로 최고점을 찍은 후 12월 3.8%까지 떨어졌지만, 전기와 가스 등 공공요금이 오르면서 올해 1월과 2월 연속 0.1%p씩 다시 올라 4%대에 재진입했다. 공공요금 인상은 국민 체감도가 높은 특성상 기대인플레이션에 더 쉽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된다.
한은은 "향후 국제유가 및 공공요금 상승폭 확대, 근원 물가에 대한 이차 파급영향 등이 나타날 경우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요인으로 작용하면서 물가 오름세 둔화 속도를 더디게 만들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기대인플레이션은 임금을 결정하는 요인이기도 하다"며 "(높은 기대인플레이션에) 임금이 높아지면 또다시 물가가 오르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kys@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