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8 (화)

이슈 물가와 GDP

전기·가스비 오른 ‘석달 뒤’가 더 무섭다…음식값은 그때부터 시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기·가스 요금이 인상되면 3개월 뒤 외식 물가가 크게 뛰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물가가 이렇게 한 번 오르면 좀처럼 내려오지 않는 것으로도 분석됐다. 국내에서 공공요금 인상의 파급효과에 대한 분석이 이뤄진 것은 사실상 처음으로, 이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 여부에도 영향을 줄 전망이어서 주목된다.

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이슈노트 ‘물가 여건 변화 및 주요 리스크 점검’을 보면, 개인서비스 물가 상승률의 공통요인과 비근원 물가(에너지·식료품) 상승률 간의 동시상관계수는 0.72였다. 공통요인은 개인서비스 분류 내 개별 품목들의 물가 상승률을 가장 잘 설명하는 공통된 요인을 일컫는다. 상관계수가 1이면 두 변수가 완전히 같이 움직인다는 뜻이다. 이는 2014년 1월~올해 1월 월별 소비자물가지수를 분석한 결과다.

에너지 가격이 뛰면 개인서비스 물가도 대체로 함께 상승했다는 얘기다. 개인서비스는 서비스에서 집세와 공공서비스를 제외한 분류로, 외식과 숙박 등이 포함된다. 특히 에너지 가격이 오른 뒤 3개월이 지나면 파급효과가 가장 뚜렷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개월 시차를 적용한 두 변수 간 상관계수는 0.77에 이르렀다.

한 번 오른 서비스 물가는 좀처럼 가라앉지 않는 것으로도 확인됐다. 두 변수 간 상관계수는 12개월 시차를 두고서도 크게 떨어지지 않은 0.69였다. 또 에너지 가격이 오를 때는 서비스 물가가 많이 뛰지만, 에너지 가격이 내려올 때는 서비스 물가의 하락폭이 제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종의 비대칭성이 있다는 얘기다.

반면 상품 쪽에서는 서비스만큼 에너지 가격 상승의 파급효과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송상윤 한은 물가동향팀 과장은 “국내 서비스는 영세 사업자가 많기 때문에 에너지 가격의 영향을 더 직접적으로 받는 것으로 보인다”며 “상품 물가는 더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다 보니 상관관계가 덜 뚜렷한 것 같은데, 정확한 원인은 추후 연구를 통해 밝혀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에서 에너지 가격의 물가 파급효과에 대한 분석이 이뤄진 건 사실상 처음이다. 당분간 큰 폭의 전기·가스 요금 인상이 불가피한 점을 감안하면 한은의 정책 결정에 기반이 될 만한 자료가 부족한 상황인 셈이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도 최근 “공공요금 파급 영향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크다”고 짚었다. 이는 해외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뤄진 것과는 대비된다. 한 예로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2017년 이미 국제유가가 근원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뒤 그 파급효과가 4년 이상 지속된다고 분석한 바 있다.

공공요금 인상의 파급효과는 기준금리 추가 인상 여부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주목도가 높다. 한은 금통위는 지난 23일 기준금리를 연 3.50%로 동결했으나, 공공요금 등의 영향으로 물가가 예상했던 경로보다 더디게 둔화할 경우 추가 인상할 가능성도 열어뒀다.

이재연 기자 jay@hani.co.kr

▶▶움트는 봄, 한겨레의 벗이 되어주세요 [후원하기]
▶▶한겨레 네이버 구독! 최신 뉴스를 쏙쏙~▶▶마음 따뜻한 소식을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모아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