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10 (금)

“매일 감정에 맞춘 ‘기분통장’ 기획...케이뱅크, MZ세대 공략 성공요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수신팀 현주경·UX팀 김선경

MZ세대·여성 이용자들 대거 유입

헤럴드경제

케이뱅크에서 기분통장을 직접 기획한 UX팀 김선경(왼쪽)씨와 수신팀 현주경씨가 헤럴드경제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케이뱅크 제공]


“인간의 감정이 어디까지 분류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논문을 읽었어요. 사람의 감정이 40개가 넘더라고요. MZ(밀레니얼+Z)세대는 단순한 걸 추구하지 않기 때문에 일단 감정을 크게 행복·평온·슬픔·분노 네 가지로 나눈 뒤 세분화했습니다. 기분통장은 그렇게 탄생했어요”(현주경 케이뱅크 수신팀 기분통장 담당자)

지난해 여름, 국내 금융권에서는 치열한 ‘수신 전쟁’이 벌어졌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7월 사상 처음으로 빅스텝(0.5%포인트 인상)을 단행하며 기준금리가 2%대에 올라앉았기 때문이다. 국내 은행은 이때부터 예금금리를 올리며 자금유치 경쟁을 벌였다. 케이뱅크도 파킹통장인 ‘플러스박스’ 외에 고객을 유치할 수 있는 무기가 필요했다. MZ세대를 공략해 자신의 기분에 따라 가격을 달리 저금할 수 있는 ‘기분통장’이 탄생하게 된 배경이다.

전략은 통했다. 기존에 ‘3040 남성’이 주를 이루던 수신 고객층은 20대로 확대됐다. 기분통장 이용자의 56%가 MZ세대로 채워졌으며 여성 고객도 훨씬 많이 유입됐다. 케이뱅크의 수신잔액은 지난해 1분기 11조5400억원에서 지난해 4분기 말 14조6300억원으로 꾸준히 증가했는데, 여기에 기분통장이 있었다는 설명이다. 헤럴드경제는 케이뱅크에서 기분통장을 직접 기획한 수신팀 현주경씨와 UX팀 김선경씨를 만났다.

-기분통장을 소개해달라.

▶현=기분통장은 그날에 따라 ‘감정 이모지+메시지+저금 금액’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행복한 이모지에서 ‘뭘 해도 되는 날’ 메시지를 입력하면 행운의 숫자인 ‘777원’이 저금 금액으로 설정되고, ‘내 마음에 평화’를 입력하면 ‘1004원’이 설정되는 식이다.

-이 통장은 어떻게 고안하게 됐나?

▶김=MZ세대를 타깃팅해 ‘감정’과 ‘적금’을 조화롭게 서비스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했다. 기분을 나타내는 게 단어일 수도 있고, 표정일 수도 있을텐데 시각적으로 어떻게 표현할지 고민했다. 결국에는 사용자들이 가장 쉽게 휠을 돌려서 선택하고, 또 금액을 보고 저금할 수 있게 흐름이 이어지는 시안을 택했다.

-시장 반응은 어떤가?

▶현=이용자들이 더 어려졌다. 케이뱅크 수신상품의 주 연령대가 30대~40대였다. 성별도 남성과 여성이 비슷한 비중을 차지했다. 하지만 확실히 기분통장으로 여성 2030 이용자들이 많이 유입됐다. 연령대 파이가 달라진 걸 보니 젊은 친구들이 확실하게 반응을 하고 있다고 느꼈다. 사내 직원들도 케이뱅크에서 재밌고 가볍게 해볼 수 있는 상품이 ‘처음’인 것 같다고 말씀하시더라.

▶김=어린 세대만 반응을 보이고 있는 건 아니다. 상품을 기획할 때 옛날 ‘삐삐세대’의 감성도 찾으려고 노력했다. 삐삐를 이용했던 이들은 숫자와 밀접하지 않느냐. ‘8282’를 입력하면 빨리 오라는 뜻이고, ‘1004’를 입력하면 사랑하는 마음을 표현할 수 있었던 것처럼 숫자와 메시지를 연결짓는 데 옛 감성을 참고했다.

-MZ세대의 마음을 얻은 결정적 이유는 뭐라고 생각하나?

▶현=결국은 ‘귀여움’이다. 통장에 나타나는 얼굴 표정이 직관적이고 화려하고 귀엽지 않느냐. 시중·지방은행에서 캐릭터 사업도 하고 싶어 하고, 귀여운 캐릭터로 금융 소비자들에게 다가가고 싶어 하지만 늘 어딘가 모르게 ‘올드함’이 묻어있는 것과 대비된다. 또한 “내가 분석을 당하는 건 싫지만, 나 자신은 성찰하고 싶어”라고 느끼는 MZ세대의 감성을 잘 자극하지 않았나 싶다.

-다른 인터넷은행 대비 케이뱅크 금융상품의 강점은 무엇인가?

▶현=케이뱅크는 상품을 고민할 때 세상에 없는 포지셔닝을 찾는다. 매주 적금하는 ‘챌린지박스’도 있고, 장기 예금상품도 있고, 파킹통장인 ‘플러스박스’도 있었는데 매일 돈을 넣을 수 있는 ‘데일리 상품’이 없었다. 이렇게 전혀 없던 포지셔닝을 새로이 찾아가는 게 케이뱅크의 장점이 아닐까 싶다.

-기분통장 향후 계획은?

▶현=기분통장의 기능은 앞으로 더 고도화될 전망이다. 지난해 12월 한차례 리뉴얼을 거쳤다. 고객 특성을 반영해 기존 10자 글자 제한을 24자까지 확대해 짧은 일기처럼 메모할 수 있게 개편했다. 향후 더 개선해나갈 전망이다.

홍승희 기자

hss@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