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 뛰어넘는 K컬처] [1] K팝 전성시대
지난 31일 밤, 방탄소년단(BTS) 멤버 제이홉이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에 설치된 무대에서 외쳤다. 수많은 인파가 환호성으로 답했다. ABC방송 ‘딕 클락스 뉴 이어스 로킨 이브’로 생중계된 장면이다. 미국 대표 신년 행사 ‘볼 드롭(Ball drop)’ 중계 방송으로 해마다 최대 2500만명이 시청하는 쇼. 다양한 세대의 시청자를 아우르는 인기 팝스타만 초대받았는데 올해 제이홉은 듀란듀란, 뉴에디션, 잭스, 위즈 칼리파와 나란히 핵심 출연자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이날 미국 CNN 인터내셔널 새해맞이 프로 ‘뉴 이어스 이브 라이브’에는 SM 소속 보이그룹 NCT127이 출연했다. 미국의 새해맞이 카운트다운에 K팝이 간판 얼굴로 등장한 것이다.
2012년 ‘강남스타일’로 세계적 인기를 끈 싸이가 먼저 미국 신년 방송 ‘로킨 이브’에 나오기는 했다. 하지만 당시의 K팝과 지금의 K팝은 위상이 확연히 다르다. 북미 시장은 팬데믹 기간을 거치며 ‘K팝 불모지’에서 ‘K팝 최전선’이 됐다. 관세청에 따르면 2016년 국내 음반류 총수출액(2991만달러) 중 미국 수출액은 5위 규모(81만달러)에 불과했다. 하지만 BTS의 미국 진출이 시작된 2017년부터 수출액이 꾸준히 증가해 지난해에는 3위 규모(3528만달러)로 올라섰다. 7년 사이 43배나 치솟은 것이다.
◇사우디·인도에서 폭발한 K팝
지금 중동은 1970년대 건설 붐으로 외화를 벌러 가던 그 모래밭이 아니다. 금기(禁忌)로 여겨지던 도시들이 K팝에 빗장을 풀고 있다. 한국국제교류재단은 2021년 12월 기준 세계 한류 팬 1억5660만 명 중 소위 ‘메나(MENA)’로 불리는 북아프리카·중동 지역 한류 팬이 10년 사이 130배 폭증한 것으로 집계했다.
중동에서도 K팝에 열광 - 지난해 9월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시티에서 ‘K콘’ 무대에 오른 K팝 스타들을 보러 해외 팬들이 모여 있다. /CJ EN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해 9월 30일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 시티에선 에이티즈, 선미, 더보이즈, 뉴진스 등 다양한 K팝 스타가 출연한 CJ ENM ‘K콘(KCON)’이 사흘간 2만 관객을 모았다. 이 콘서트가 중동 지역에서 열린 건 2016년 8000석 규모의 아랍에미리트(UAE) 공연 이후 두 번째. 걸그룹 블랙핑크는 오는 20일 사우디 리야드와 28일 UAE 아부다비를 핑크로 물들인다. 리야드에서 K팝 걸그룹이 단독 콘서트를 하는 건 처음이다.
인도의 대도시 풍경도 K팝이 바꿀 기세다. 최근 수도 뉴델리와 뭄바이 등지에 BTS 등 K팝 스타를 테마로 한 음식점과 카페가 늘고 있다. 뭄바이의 BTS 테마 카페 ‘방탄 셰프(Bang Tan shefs)’의 운영진 리야 군(28)씨는 “팬데믹 기간 K팝에 큰 위로를 받았다는 인도 팬이 급증했다”고 전했다. 음악 스타트업 스페이스오디티에 따르면 2019~2022년 K팝 유튜브 조회수가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인도(1000%)였다. 미국(55.6%), 일본(167.6%)과 견주면 어지러울 만큼 눈부신 증가율이다.
◇코로나·한한령 밀고 훨훨 난 K팝
이런 영토 확장은 코로나와 중국의 문화 규제에도 K팝이 고공비행하는 계기가 됐다. 중국으로의 음반 수출량 감소는 미미한 반면, 다양한 국가로의 판매량이 획기적으로 늘었다. 국내 음반 수출 국가는 2016년 60국에서 2021년 148국으로 넓어졌다. 2021년 처음 2억달러를 넘긴 음반 수출 총액(CD 기준)은 올해도 최고 기록을 갈아치울 전망이다.
이문원 평론가는 “팬데믹 기간에 각국의 온라인 영상과 음원 소비가 크게 늘고, 플랫폼도 다양해지면서 해외 팬의 K팝 접근성이 몇 배 더 나아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세계한류학회장을 지낸 박길성 고려대 교수는 “K컬처라는 ‘매력 자본’은 노래, 영화, 드라마는 물론 세계인이 소비하는 패션과 음식 등 문화 저변에 스며들고 있다”며 “우리가 세계사에서 처음으로 메인스트림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수정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