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 연 5% 시대 열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금융권 금리 인상 랠리가 지속되면서 마침내 시중은행에서 연 5% 예금 금리 시대가 열렸습니다.

그동안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이나 일부 지방은행에서 연 5% 이상의 이자를 주는 상품은 있었지만 전국적인 점포망을 가진 시중은행에서는 연 4%대가 가장 높았습니다.

이에 따라 금융권 수신금리 경쟁이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오늘(14일) 은행권에 따르면 우리은행 대표상품인 '우리 WON플러스 예금'은 어제 기준 1년 만기 기준 연 5.18%의 금리를 제공합니다.

'우리 WON플러스 예금'은 시장금리 연동상품으로 별다른 조건 없이도 누구나 최고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대표상품인 '우리 WON플러스 예금'은 시장금리를 반영해 매일 적용금리가 달라지는 만큼 최근의 금리 인상기에 가장 먼저 연 5% 선을 돌파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우리 WON플러스 예금'은 주말에도 시장금리 인상분이 자동 반영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이 상품은 오늘 오전 기준으로 금리가 연 4.98%로 다시 내려갔습니다.

KB국민은행의 'KB STAR 정기예금'도 오늘부터 1년 만기 기준 연 5.01%의 금리를 적용합니다.

'KB STAR 정기예금'은 매주 시장금리를 반영하는데, 지난 주말까지 연 4.96%의 금리가 주초 변동되면서 5%대에 올라섰습니다.

NH농협은행의 'NH올원e예금' 역시 오늘 기준 1년 만기 상품에 연 5.1%의 금리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 상품 역시 시장금리를 매일 반영해 금리를 변동시키는 상품입니다.

그동안 주요 시중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상품 금리는 연 4%대에 머물렀으나 지난 주말을 기점으로 연 5%대에 속속 올라서고 있습니다.

이들 상품에 1억 원을 넣는다면 1년에 이자 수익만 500만 원가량을 올릴 수 있는 셈입니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 따르면 그동안 1년 만기 정기예금 상품 중 금리가 연 5%를 넘는 것은 BNK부산은행의 '더 특판 정기예금'(연 5.4%), 전북은행의 'JB123 정기예금'(연 5.3%), 스탠다드차타드은행의 'e-그린세이브예금'(연 5.1%), 제주은행 'J정기예금'(연 5.10%), 광주은행의 '호랏차차디지털예금'(연 5.0%)밖에 없었습니다.

주로 전국적인 수신기반이 약한 지방은행이나 외국계 은행인데다 이마저도 기본금리에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만 연 5%가 넘는 최고 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은행과 KB국민은행, NH농협은행이 연 5%대 금리 정기예금 상품 시장에 본격 가세한 셈입니다.

이는 한국은행의 잇따른 기준금리 인상 영향 때문입니다.

지난달 12일 한은이 사상 두 번째 빅 스텝을 밟자 주요 시중은행들은 일제히 예·적금 금리를 0.3∼1%포인트(p) 상향 조정했습니다.

우리은행은 한은 기준금리 인상을 반영해 지난달 13일부터 19개 정기예금과 27개 적금 상품의 금리를 최대 1%포인트(p) 인상했습니다.

NH농협은행은 지난달 14일부터 예금 금리는 0.50%p, 적금 금리는 0.50∼0.70%p 각각 인상해 반영하고 있습니다.

KB국민은행은 기준금리와 시장금리 변동을 반영해 지난달 20일부터 15개 정기예금, 23개 적립식예금(적금) 상품의 금리를 인상했습니다.

이에 따라 KB국민은행의 정기예금과 적금 금리는 각각 최대 0.5%p, 0.6%p 올랐습니다.

오늘 기준 신한은행의 '쏠편한 정기예금'과 하나은행의 '하나의 정기예금' 금리가 연 4.85%인 만큼 조만간 연 5% 금리를 돌파하는 시중은행 정기예금 상품이 잇따를 것으로 보입니다.
유영규 기자(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