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이슈 코로나19 백신 개발

코로나 일요일 확진 9주 만에 최다…백신 접종률은 한자릿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로나19 신규 환자 증가세가 뚜렷하다. 6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환자는 3만6675명 발생했다. 1주 전(10월 30일, 3만4492명)과 비교해 2183명 많고 2주 전(10월 23일, 2만6234명)보다는 1만441명 증가한 것이다. 일요일 발표 기준으로 지난 9월 4일(7만2112명) 이후 9주 만에 최다치다.

중앙일보

6일 오후 서울역광장에 마련된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3주째 증가”…정부, 하루 최대 20만명 확진 예측



위중증 환자는 이날 346명으로 지난달 4일(353명) 이후 33일 만에 가장 많았다. 사망자는 18명으로 집계됐다.

중앙일보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한덕수 국무총리는 지난 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변이 바이러스 유입 등으로 겨울철 하루 최대 20만명까지 확진자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겨울철 재유행이 와도 정점 규모가 이전 최대치(8월 17일, 18만745명)보단 낮을 것이라고 예측했는데 더 높은 정점을 전망치로 언급한 것이다. 다만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여름철 유행 당시 예측이 (최대) 28만명 정도였는데, 실제 18만명 정도 발생했다. 지금은 그 예상치가 20만 정도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6차 유행 때보다는 정점 예측치를 낮춰 본다는 얘기다. 정부는 구체적인 전망과 대책을 오는 9일 발표할 예정이다.



BQ.1, BQ.1.1 아직 확산 전인데…



이번 재유행은 오미크론 BA.5의 하위 변이인 BQ.1과 BQ.1.1이 주도할 것이란 분석이 많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에선 이미 이 변이들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4일 발표한 주간 리포트에 따르면 미국 확진자 가운데 BQ.1과 BQ.1.1에 감염된 환자는 전체의 35%를 차지한다. 일주일 전(23.2%)보다 10%포인트 이상 증가했다. 유럽 보건당국도 이들 변이가 곧 우세종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중앙일보

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2 제28회 팜엑스포'를 찾은 관람객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가정용 상비약을 살펴보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직 국내에선 이들 변이 검출률이 1% 미만으로 미미하다. 그런데도 최근 환자가 증가하는 것 관련, “6차 유행의 연장선에서 BA.5가 재확산하고 있는 것”(김탁 순천향대부천병원 감염내과 교수)이란 분석도 있다. 김탁 교수는 BA.5의 재확산에 대해 “BA.1, BA.2에 의한 유행이 정점을 이뤘던 시기와 3차 접종률이 천장에 다다른 시기가 올해 3월로 비슷하다는 점에서 이유를 추정해볼 수 있다”며 “5차 유행 시 BA.1, BA.2에 감염됐던 분들과 3차 접종자의 면역력 감소가 동시에 나타나면서 BA.5에 감염될 인구 집단이 빠르게 늘어나 생기는 현상일 수 있다”고 말했다.



새 변이 본격 확산시 피해 우려



같은 이유로 BQ.1과 BQ.1.1 변이가 본격 확산하기 전에 면역 수준을 빠르게 끌어올려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이들 변이의 중증도가 이전 BA.5 등과 비교해 더 높다는 증거는 없지만, 면역 회피 성향이 강해 재감염될 가능성이 있어서다. 김탁 교수는 “7차 유행의 충격을 줄이기 위해서는 감소한 면역력을 다시 끌어올릴 수 있도록 4차 접종률을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앞서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회는 재유행 시기 국민 3800만명이 면역 공백 상황에 닥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지난 6차 유행 이후 약 700만명이 확진됐고, 숨은 감염자(350만명)까지 고려하면 1000만명가량이 자연 면역을 갖췄다고 본다. 여기에 8월 이후 백신 접종자(230만명)를 고려하면 국민 25% 정도(1300만명)가 재유행 시기를 무사히 넘길 수 있다는 계산이다. 하지만, 나머지는 방어력이 없거나 떨어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동절기에는 실내 생활이 증가하는 반면 환기가 부족하고, 바이러스 생존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는 등 위험요인은 가득한데 사회적 거리두기 없이 겨울철 첫 유행을 맞는다는 점도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백신 접종 후 2주 정도 지나면 방어 항체가 형성되는 만큼 단기간에 효과적으로 방어력을 끌어올릴 수단은 접종률을 높이는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지난달 11일부터 개량 백신 접종을 시작했지만, 60세 이상 고령층 접종률은 7.8%(4일 0시 기준)로 여전히 한자릿수에 머물러 있다. 7일부터는 기초 접종(1·2차)을 완료한 만 18세 이상으로 추가 접종 대상이 확대된다.

황수연 기자 ppangshu@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