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문화재연구원 2019년부터 연구…문화재 원형복원 탄력 기대
이에 따라 그간 전통 안료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던 단청, 괘불, 초상화 수리와 원형 복원 작업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립문화재연구원 관계자는 "수원 화령전 운한각을 비롯해 다양한 문화재 보수 및 복원에 동록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무기안료 돌록의 제조공정 |
안료는 물질에 색을 내는 색소를 말한다. 물이나 기름 등에 녹지 않는 미세한 분말의 고체다.
전통 안료는 문화재를 수리하는 데 주로 사용한다. 아교나 풀과 함께 섞어 사용하면 물감처럼 쓸 수 있어 빛바랜 부분을 채색할 수 있다.
전통 안료에는 녹색을 표현하는 동록, 청색을 표현하는 회청, 황색을 표현하는 밀타승, 적색을 표현하는 연단, 백색을 표현하는 연백이 있다.
회청은 수입해서 썼고, 밀타승, 연단, 연백은 전통 방식이 남아있다. 동록만 유일하게 제법이 단절됐는데, 그간 문헌이나 역사적 자료도 많지 않아 복원이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무기안료 동록의 원료와 재현 안료 |
국립문화재연구원은 2019년부터 인공 무기안료의 재료와 제조기술을 복원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원들은 한·중·일 고문헌을 뒤져 동록의 명칭과 제조·재현 방법을 연구했다.
그 결과, 염부식법으로 재현한 동록 안료가 실제 문화재 속 고(古)단청의 색상과 성분이 동일하고 입자 형태도 유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염부식법은 구리나 구리합금으로 만든 그릇인 동기(銅器)를 광명염(光明鹽)과 뇨사로 부식시켜 만드는 전통 기법을 말한다. 쉽게 말해 동에서 채취한 분말과 천연 소금, 소변을 특정 비율로 섞어서 안료를 만드는 기법인 셈이다.
국립문화재연구원 이선명 연구사는 "거의 100%에 가깝게 전통 완료를 복원해 냈다"며 "전통 동록은 천연보다는 인공적으로 만들었는데, 이는 기술 수준이 높았음을 방증한다"고 설명했다.
국립문화재연구원은 올해 말까지 동록 안료의 제법 재현 연구를 정리해 관련 학계에 발표하고 제조기술 특허출원과 기술이전, 종합보고서 발간 등 단계적으로 연구 성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재현 안료 |
buff27@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