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이슈 물가와 GDP

물가 상승 책임이 MZ세대에 있다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방현철의 월스트리트 X 위클리비즈] 밀레니얼세대, 인플레이션 주범이냐 피해자냐

전 세계를 덮친 인플레이션의 책임을 놓고 미국에서 뜻밖의 ‘용의자’가 등장했다. 미국에서 가장 큰 인구 집단인 밀레니얼 세대(1981년~1996년생)다.

블룸버그통신은 “밀레니얼 세대가 성장하면서 마침내 어른처럼 소비하기 시작했다”며 이들이 집과 자동차 구매에 나서면서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했다. 자산운용사 스미드 캐피털의 빌 스미드 최고투자책임자(CIO)는 CNBC에 출연해 “밀레니얼 세대가 너무 많은 돈을 갖고, 소량의 물건에 달려들고 있다”며 “밀레니얼 세대가 최근 인플레이션의 주요 요인 중 하나”라고 했다.

곽창렬 기자가 유튜브 채널 조선머니에 출연해 이런 주장이 얼마나 신빙성이 있는지 분석했다.

[물가상승 책임 논쟁 영상으로 확인] : https://youtu.be/lhvndg6I6Yg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작년 말 현재 미국의 인구는 약 3억3000만. 이 중 밀레니얼 세대는 7226만명 정도로 추정된다. 전체 미국 인구의 약 22%로 부모 세대인 베이비 붐 세대(7068만명·21%)를 넘어 최대 인구 집단으로 자리 잡았다.

코로나19 전만 해도 밀레니얼 세대는 부모나 형님 세대보다 소비에 소극적이라는 분석이 많았다.

코로나 팬데믹을 겪으며 상황이 크게 변했다. 전미부동산협회에 따르면 2020년 미국 주택 구매자 가운데 밀레니얼 세대의 비율이 37%로 가장 높았고, 올해 들어서는 그 비율이 43%로 증가했다. 차량 구입도 밀레니얼 세대가 이끌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는 명품 시장에서도 큰손으로 떠올랐다. 결제 서비스 기업 클라나 집계에 따르면, 지난 1년간 밀레니얼 세대 중 사치품을 구입한 비율은 63%로 X세대(45%)나 베이비 붐 세대(25%)에 비해 크게 높다. 마케팅 업체 와이펄스에 따르면, 2020년 미국 밀레니얼 세대의 구매력은 2조5000억달러(약 3274조원)로 미국 연간 소매 판매의 30%에 달한다.

그러자 “주택이나 사치품 등 희소한 제품에 대한 밀레니얼 세대의 수요가 과도해 물가가 크게 올랐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조선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기간 가상 화폐와 주가 상승으로 밀레니얼 세대의 주머니 사정이 두둑해진 것이 소비 증대의 원인이 되고 있다. 금융서비스업체 스틸트 조사에 따르면 2020년 미국 비트코인 투자자 가운데 밀레니얼 세대의 비율이 76%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하지만 한창 가정을 꾸려야 하는 처지라 주택이나 자동차 구입에 나섰을 뿐이며, 코인이나 주식 투자로 돈 번 사람은 밀레니얼 세대 중에서도 소수라는 반박도 있다. 여론조사기관 해리스폴이 18~41세 미국인 1000여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밀레니얼 세대 절반은 얇은 주머니 사정 때문에 원하는 것을 사지 못할 것이라고 답했다. 돈 때문에 자주 어려움을 겪는다는 응답도 38%에 달해 미국 전체 성인 평균(13%)보다 훨씬 높았다.

나아가 밀레니얼 세대는 오히려 인플레이션의 고통을 온몸으로 받는 최대 피해자라는 주장도 나온다. 경제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밀레니얼 세대는 40세 이전에 이미 두 번의 경기 침체를 겪었고, 하필 주택이나 자동차 등 거액의 돈을 써야 하는 인생의 단계에 있기 때문에 더 큰 고통을 받고 있다”고 했다.

경제매체 포천은 “밀레니얼 세대는 역사적인 불황기에 졸업과 취업을 맞이하는 등 부를 쌓아야 하는 시기에 지속적인 장애물에 가로막혀 있었다”며 “이제는 치솟는 집값, 정체된 임금 인상, 그리고 엄청난 학자금 대출 부채에 직면해 고통받고 있다”고 했다.

미국의 밀레니얼 세대 인플레이션 책임론은 한국에서 나온 ‘30대 영끌족’ 책임론과 유사한 점이 많다. 작년 집값이 폭등하자 ‘무리하게 집을 산 영끌족이 집값을 끌어올렸다’는 주장과 ‘한창 집을 마련해야 하는 시기인 30대가 집값 폭등의 최대 피해자’라는 주장이 맞붙었다.

[물가상승 책임 논쟁 영상으로 확인] : https://youtu.be/lhvndg6I6Yg

[곽창렬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