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이슈 물가와 GDP

물가 상승세 이어지고 미국 긴축 속도 빨라져…26일 이창용 첫 주재 금통위, 금리 올릴 가능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이창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치솟는 물가가 자신을 ‘장기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로 밝힌 이창용 신임 한국은행 총재의 등을 매파(통화긴축 선호)의 길로 떠밀고 있다. 이 총재가 오는 26일 의장으로 처음 주재하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한은 금통위는 지난달 14일 총재 부재에도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연 1.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금통위가 5월에도 기준금리를 올리면 두 차례 연속 기준금리 인상이다.

중앙일보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전망하는 가장 큰 배경은 치솟는 물가다. 3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1년 전보다 4.8% 올랐다. 2008년 10월(4.8%) 이후 13년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 총재는 지난달 25일 기자간담회에서 “오늘까지 봤을 때는 물가가 조금 더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어떤 속도로 금리를 변화시킬지는 데이터가 나오는 것을 보고 판단해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물가지수만 보면 기준금리 인상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중앙일보

9년만에 3%대를 넘어선 기대인플레이션율.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게다가 물가 상승세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한은은 이날 오전 물가점검회의에서 “CPI 상승률이 당분간 4%대의 오름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더 부담스러운 건 치솟는 물가에 발맞춰 높아지는 물가 상승 기대감이다. 한은에 따르면 4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1%로 2013년 4월(3.1%)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았다.

기대인플레이션이 오르면 임금 인상 등을 통해 실제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2차 효과가 발생한다. 이환석 한은 부총재보는 “경제 주체의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한미 기준금리 추이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한국은행, 미국연방준비제도(Fed)]


미국의 빨라지는 긴축 속도도 이 총재를 매파의 길로 끌고 있다. 금융시장은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3~4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빅스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Fed가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인상)이나 ‘점보 스텝’(여러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이상씩 인상)을 밟으면 한국과 미국의 금리 역전은 시간문제다. 현재 한국의 기준금리(연 1.50%)와 미국의 기준금리(연 0.25∼0.5%) 간 격차는 1.0∼1.25%포인트다.

한국과 미국의 격차가 벌어지면 자본 유출 등의 우려가 커진다. 달러 수요가 늘면 약세를 이어가는 원화 가치는 더 떨어질(환율 상승) 수 있다. 게다가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 수입 물가가 오르게 된다. 이 총재도 지난달 19일 인사청문회에서 “한·미 금리가 역전됐을 때 원화가 절하돼 물가 상승 압력으로 올 가능성이 있어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미 원화 가치는 강(强)달러의 위세에 크게 떨어진 상태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화 값은 전날보다 2.7원 내린 달러당 1267.8원에 마감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물가상승률과 미국의 긴축 기조를 보면 한은이 앞으로 남은 다섯 번의 금통위에서 매번 기준금리를 인상해도 이상할 게 하나 없는 상황”이라며 “성장 둔화 우려가 있지만 중앙은행은 결국 물가를 잡는 길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문제는 한은의 금리 인상 여력이 많지 않다는 데 있다. 금리를 올리면 경제 성장 둔화를 감수해야 해서다.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전 분기 대비 0.7%에 그쳤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