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서교동의 한 카페 카운터 앞. QR코드 체크를 위해 테블릿PC를 설치했던 거치대가 텅 비어있다. 함민정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QR체크 안 해도 되는거야?”
1일 오후 2시쯤 서울 서대문구에 있는 한 한식당 출입구 앞. 문을 열고 들어온 손님 6명은 카운터를 두리번거린 뒤 이같이 말하며 곧바로 자리에 가 앉았다. 이들 사이에서는 “(QR 코드) 찍는다고 기다릴 필요 없겠다”는 말도 나왔다. 식당 입구에는 QR코드 확인을 위한 태블릿PC가 사라지고 텅 빈 거치대만 남아있었다. 손님 조모(26)씨는 “QR코드를 일일이 찍지 않아도 돼 편하지만, 코로나가 퍼질까 걱정된다”고 했다.
━
4개월 만에 사라진 방역패스…환영·우려 교차
지난달 28일 오후 대구 중구의 한 음식점 유리문에 식당 직원이 3월 1일부터 시행되는 방역패스 일시중단 관련 안내문을 붙이고 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가 시행 4개월 만에 중단된 이 날 현장에서는 환영과 우려의 목소리가 엇갈렸다. 식당이나 카페 등에서 QR체크를 위해 기다리던 줄이나 전자기기 등은 자취를 감췄다.
자영업자 등은 일거리가 줄었다며 환영하는 분위기다. 이날 오후 1시 서울 강남역 인근에 있는 한 코인노래방은 카운터에 놓인 태블릿PC를 꺼두고 있었다. 해당 태블릿PC는 방역패스 도입과 함께 사장이 따로 산 것이라고 한다. 카운터를 지키던 20대 아르바이트생은 “방역패스 확인만으로 혼자서 일을 하기 버거울 때가 있었는데 방역패스가 사라지니 일이 훨씬 수월해졌다”고 말했다. 서울 홍익대 인근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장모(42)씨는 “평일에 혼자 일할 땐 QR체크인 소리를 듣고 확인해야 해 번거로웠는데 방역패스가 중단되니 편해졌다”고 말했다.
━
“갑자기 중단?” “확진자 폭증” 의구심·걱정도
서울 강남역 10번 출구 인근 서초구 PCR 검사소에 긴 줄이 만들어졌다. 채혜선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반면 방역패스가 갑자기 중단된 데에 따른 의구심을 나타내는 이도 적지 않았다. 서울 마포구 서교동에서 고깃집을 운영하는 김모(67)씨는 “대선을 8일 앞두고 방역패스를 갑자기 하지 말라고 하니 ‘정치방역’이라는 생각밖에 안 든다”며 “자영업자들이 방역패스 철회해달라고 할 땐 (정부가) 꿈쩍 않더니 선거 앞두고 꼼수를 부리는 거 같다”고 주장했다. 경기도 성남시에서 한식당을 하는 김모(33)씨는 “익숙해질 때쯤 갑자기 방역패스가 사라졌다”며 “방역패스보다 영업시간 제한 등을 풀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폭증하는 시점에 방역패스를 중단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우려도 나왔다. 이날 오전 11시 서울 서초구 PCR검사소에는 300m 넘는 긴 줄이 만들어졌다. 인근 주민 이모씨는 “줄만 봐도 알 수 있듯 확진자가 폭증하는 상황에서 방역패스가 사라진다고 하면 제대로 관리가 안 될 거 같다”고 인상을 찌푸렸다. 확진자 동거가족인 직장인 이모(31·여)씨는 “온 가족이 확진된 나 같은 사람이 밖에 편하게 돌아다닌다고 생각하니 무섭다”며 “확진 경로 추적 등이 불가능하다는 건데 식당·카페 등은 절대 가지 않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
미접종자 “마음대로 돌아다닐 것”
지난달 28일 오후 서울의 한 식당 입구에 오는 3월 1일부터 시행되는 방역패스 적용 일시 중단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접종자들은 “‘존버(최대한 버티기)’는 승리한다”며 방역패스 중단을 반겼다. 직장인 A씨(29)는 “식당에 가면 접종자인지 아닌지 소리가 나 괜히 눈치를 봤는데, 이젠 그럴 일이 없어졌다”며 “마음껏 편하게 돌아다닐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미접종자 커피 무료제공’ 캠페인으로 화제를 모았던 카페 점주 김종민(35)씨도 “방역패스 시행 이후 오늘 처음으로 외식했다”며 “방역패스 반대 집회와 소송을 이어가던 분들이 있었고, 이번 조처는 모든 분의 노력의 결실이라 생각한다”고 했다.
방역 일선 현장이나 감염 취약시설에서도 반색과 걱정이 교차했다. 서울의 한 보건소 관계자는 “음성 확인서를 종이로 발급해줄 때도 있어 작업이 많았는데 앞으로 업무 부담이 줄어들 것 같다”고 예상했다. 인천의 한 요양원 대표 K씨는 “부모 자식 관계는 끊을 수 없는데 백신 미접종 등을 이유로 면회 등을 막아 원망이 많았었다. 이제라도 방역패스가 사라져 다행”이라면서도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철저하게 시설 관리하는 게 쉽지 않다. 유흥업소 등 일부 시설에 대한 방역패스는 유지했어야 했다”고 말했다.
함민정 기자 ham.minjung@joongang.co.kr, 채혜선 기자 chae.hyeseon@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