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차기 대선 경쟁

TV, 사이버 논객, 유튜브까지···대선 승리는 미디어가 갈랐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경향신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왼쪽)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유튜브 채널 ‘재끼찬’·윤석열 후보 채널 화면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25년간 대통령 선거는 미디어의 변화와 함께 해왔다. 후보와 유권자의 주요 소통 창구는 TV를 시작으로, 유튜브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 발전했다. 변화된 미디어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대응하느냐가 승부를 좌우하기도 했다.

경향신문

1997년 12월 15대 대선 TV합동토론회에 나선 국민회의 김대중 후보. 경향신문 자료사진


1997년 15대 대선에서 김대중 대통령의 당선은 “TV토론 덕분”이라는 평가가 많다. 대선에서 TV토론이 적용된 건 이 때가 처음이었다. 당시 김대중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는 TV토론에서 논리적인 언변을 보여주며 그의 최대 약점인 ‘빨갱이’라는 낙인을 지울 수 있었다. 김 후보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를 극복할 방안을 구체적인 경제 수치로 제시하며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를 몰아세우기도 했다.

경향신문

2002년 2월 노무현 민주당 고문이 ‘노사모’ 공식 홈페이지를 살펴보고 있다. 경향신문 자료사진


2002년 16대 대선에선 인터넷이 노무현 대통령의 승리를 이끌었다. 당시 무수한 ‘사이버 논객’은 언론사 홈페이지나 정치웹진에서 자신의 논리를 펼쳤다. 사이버 논객은 대학교수, 평론가뿐 아니라 주부, 회사원, 학생 등 다양했다. 노 전 대통령의 팬클럽 ‘노사모’의 활동 기반도 인터넷이었다. 영국의 가디언지가 2003년 2월 노 대통령의 취임식 행사를 다룬 기사 제목을 ‘세계 최초의 인터넷 대통령 로그인하다’라고 달았을 정도다.

2002년 대선에서 인터넷은 ‘텍스트’가 중심이었다면, 2007년 17대 대선에서 인터넷은 ‘동영상’이 중심이었다. 사용자제작콘텐츠(UCC)라고 불렸던 동영상의 출현은 빨라진 인터넷 속도와 넓어진 인터넷 사용자층이 그 배경이 됐다. 단 당시에는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가 선거 초반부터 크게 우세를 차지해, 미디어가 선거 판세를 바꾸지는 못했다.

경향신문

2012년 12월 대선 후보 TV토론에 대한 촌평. 트위터 화면 갈무리


2012년 18대 대선에선 트위터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가 등장했다. 당시 스마트폰 보급에 따른 것이다. TV토론을 SNS에서 2차 가공해 유포하는 형태가 주목을 끌었다. 당시 TV토론에서 지지율이 낮은 이정희 통합진보당 후보는 ‘수첩공주’라는 별명을 가진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를 몰아세웠다. 이를 두고 트위터에서는 ‘이정희 “난 잃을 게 없다”, 박근혜 “난 읽을 게 없다”, 문재인 “난 낄 데가 없다”’는 촌평이 인기를 끌었다.

경향신문

2017년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페이스북 라이브 화면 캡쳐


2017년 19대 대선에선 ‘페이스북 라이브’(생중계)가 선거운동에 사용됐다. 후보의 지지율이 낮거나 소속 정당의 의석수와 상관없이,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시민과 직접 만날 수 있다는 점에서 각광을 받았다. 이른 바 ‘가짜 뉴스’에 대한 관심도 높았다. 가짜뉴스는 네이버 밴드·페이스북·트위터 등 SNS로 퍼져나갔다. 각 후보자들의 비방이 많았던 TV토론 이후에는 “TV토론에서 실시간 팩트체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 도입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2022년 대선의 주요 미디어는 유튜브다. 각 후보들은 주식투자·게임·반려동물 등 정치와 관련도가 적은 채널에 앞다퉈 출연했다. 시민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미디어가 유튜브인데다가 관심사가 세분화된 유권자에게 다가갈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한 민주당 의원은 “단일화된 집단의 영향력이 줄어들고 유권자의 관심은 여러 영역별로 세분화됐다”면서 “세분화된 영역에서 영향력이 있는 사람들의 지지를 조금씩 늘리는 방식이 표를 얻는 데 유용해 진 것”이라고 말했다. 각 후보는 유튜브와 SNS를 통해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TV토론과 유튜브 채널에서 보여준 후보의 모습이 SNS를 통해 퍼져 나가는 모습도 여전히 나타나고 있다. 각 후보별 캠프는 ‘짤’(밈·Meme)에 후보의 어떤 모습을 노출할지 고민하고 있다. 한 후보 캠프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정치에 관심도가 낮은 중도·무당층은 공약보다는 인터넷에 도는 사진과 영상으로 후보를 평가하는 경향이 높다”고 말했다.

곽희양 기자 huiyang@kyunghyang.com

▶ [뉴스레터]좋은 식습관을 만드는 맛있는 정보
▶ [뉴스레터]교양 레터 ‘인스피아’로 영감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