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논란’ 해명 거부에 경찰 수사로 진상 밝혀질 듯
‘윤·한 갈등’ 전면전 확산…계파 간 불신·적개심만 커져
특별감찰관·김 여사 라인 인적 청산 등 쇄신책 길 잃어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왼쪽)와 추경호 원내대표가 26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초선의원 공부모임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영상을 바라보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친윤석열(친윤)계의 집요한 요구에도 가족 명의 당원 게시판 글을 가족이 직접 작성했는지에 대해 침묵하면서 내부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26일까지 열흘 이상 이어진 당원 게시판 관련 공방은 국민의힘에 상처를 입혔다. ‘내로남불’ ‘불통’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된 한 대표의 리더십에도 의문이 제기됐다.
당원 게시판 공방은 지난 5일 한 대표와 그 가족 명의로 윤 대통령 부부에 대한 비방 글이 수백개 올라온 사실이 알려지며 시작됐다. 지난 13일 추경호 원내대표 등 친윤계 인사들이 당무감사를 요구하며 논란이 커졌다.
정기국회가 진행 중이었지만 친윤계는 이때부터 당 중진부터 대통령실 출신 의원들까지 한 대표의 직접 해명을 요구하며 공격을 이어갔다. 급기야 전날 최고위원회의에선 한 대표와 김민전 최고위원이 이 문제에 대한 당의 고발 방침을 두고 공개 설전을 벌였다.
한 대표는 초지일관으로 당무감사도 가족 명의 글에 대한 해명도 거부했다. 빨리 해명하고 털어야 한다는 조언도 있었지만 한 대표의 뜻은 꺾이지 않았다. 결국 한 대표 가족 명의 글의 실체는 경찰 수사를 통해 가려질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은 이번 공방을 거치며 큰 상처를 입었다. 먼저 윤 대통령의 지난 7일 기자회견 후 봉합된 것으로 보였던 ‘윤·한 갈등’이 터지면서 계파 간 전면전으로 확산됐다. 이는 서로에 대한 불신과 감정의 골을 드러냈다.
한 대표는 전날 총선백서, 김건희 여사 텔레그램 메시지 ‘읽씹’ 논란을 언급하며 “이슈를 어떻게든 키워서 당대표를 공격하고 흔들려는 연장선”이라고 밝혔다. 친윤계가 자신을 당대표에서 끌어내리려 하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해석한 것이다. 한 대표는 이날도 기자들에게 “없는 분란을 불필요하게 만들어내는 사람들이 문제”라고 했다. 친윤계가 한 대표에게 화력을 집중한 배경엔 윤 대통령 지시나 묵인이 있었을 것이란 분석이 당내에 많다.
사석에서도 친한동훈(친한)계는 “친윤계가 자기들 권력 지키기에만 혈안이 돼 있다”고 하고, 친윤계는 “한 대표가 대통령과 잠시 갈등을 멈추나 했더니 본색을 드러냈다”고 하는 등 적개심을 드러낸 표현들을 했다.
문제는 이로 인해 여당이 던졌던 특별감찰관이나 김 여사 라인 인적 청산 등 쇄신책들이 뒷전으로 밀렸다는 것이다. 당권을 쥔 친한계와 원내 다수를 점한 친윤계 사이에 거리감이 생기면서 정기국회에서 다수 야당에 대응해 여당의 의제를 던지기도 어려워졌다.
한 대표의 리더십에도 큰 상처가 났다. 당내 친윤계는 물론 중립지대 의원들도 한 대표가 직접 해명하고 빠르게 털고 가야 한다는 의견을 많이 냈는데, 한 대표가 끝내 설명을 거부하고 당내 갈등을 키웠기 때문이다.
친한계 확장 기류도 사그라들었다. 한 초선 의원은 기자와 만나 “중립지대 의원 중 한 대표가 해명을 못하는 게 이상하다며 나처럼 반감이 커진 의원들이 점점 늘고 있다”고 말했다. 고집을 꺾지 않는 불통 리더십이 윤 대통령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지적도 나왔다.
보수층 사이에 윤 대통령과 한 대표가 공존하기 힘들다는 인식이 커진 점도 한 대표에겐 뼈아프다. 한 재선 의원은 “지난 총선 패배 후 대통령을 바꿀 사람은 한 대표뿐이라는 인식에 전당대회 지지가 몰렸는데, 한 대표도 윤 대통령과의 관계가 뜻대로 되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조미덥·이보라·민서영 기자 zorro@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짧게 살고 천천히 죽는 ‘옷의 생애’를 게임으로!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