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오전 이마트 마포공덕점 1층 출입구에서 안내직원이 QR코드를 찍지 않고 매장에 들어가려던 고객을 제지하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잠시만요. QR코드 찍고 한 분씩 입장해주세요.” “지갑만 잠깐 들고 나왔는데 못 들어가나요. 백신은 맞았는데 휴대폰을 집에 두고 와서요.”
대형마트·백화점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 의무화 시행 첫날인 10일 오전 이마트 마포공덕점 입구에서 작은 소동이 일었다. 대부분은 큰 무리없이 방역패스 인증 후 매장에 입장했지만 접종 완료 증명이 불가한 고객은 황급히 발걸음을 돌려야 했다.
마트 직원은 “다음에는 꼭 QR코드 증명서나 음성확인서 종이를 들고 와달라”고 당부했지만 고객은 “어제는 휴무일이라 아침 일찍 나왔는데 이게 뭐하자는 건지”라며 말끝을 흐렸다. 한 70대 여성 고객은 “주민센터에서 발급해준 스티커”라며 주민등록증에 부착된 백신접종 확인 스티커를 보여줬지만 안내직원이 해당 내용을 숙지하지 못해 입장이 잠시 지연되기도 했다.
이전까진 출입문 앞 체온 측정되는 자동 소독 분사기가 전부였지만 이날 방역패스 확인 의무화로 인해 QR코드 인증 안내 직원이 추가로 배치된 모습이었다. 일부 출입문을 폐쇄할 것이라는 예상도 있었지만 이마트는 대부분 점포가 모든 출입문을 개방해 병목현상을 최소화했다. 특정 입구로 고객이 몰릴 경우 감염 우려가 높아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마트 공덕점은 지상과 지하에서 연결되는 3곳의 출입문을 전부 개방하고 각각 안내 직원을 배치했다. 성수본점 역시 1~3층 모든 입구를 개방하는 대신 통제선을 설치해 일렬 또는 이열로 입장할 수 있도록 했다.
다만 상대적으로 입구가 많은 백화점의 경우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는 수준에서 일부 출입문을 폐쇄했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기존 500여개 출입문을 350개로 30%가량 줄였다”며 “대신 안내와 관리를 위한 인력을 200명에서 500여명까지 2.5배 늘렸다”고 말했다. 롯데백화점도 방역패스 확인을 위해 출입구 배치 직원을 종전보다 2배로 늘렸다고 설명했다.
각사는 방역패스 의무 시행으로 발생할 불편을 최소화하는데 주력했지만 첫날인 만큼 현장에선 각종 혼선이 빚어졌다. 미접종자도 1인 이용은 가능했던 식당·카페와 달리 백화점·대형마트는 유전자증폭(PCR) 음성확인서가 없으면 입장이 불가하다. 상품 교환을 위해 방문한 30대 남성 고객은 “기존에도 혼밥은 가능했어서 백화점 입장이 안 되는 줄은 전혀 생각하지 못했다”며 당황했다.
대형마트 방역패스 의무화 첫날인 10일 오전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이마트 마포공덕점에서 고객들이 방역패스 QR코드 인증을 하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허점도 눈에 띄었다. 방역패스 예외 대상인 만 18세 이하 소아·청소년의 경우 신분 확인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없어 혼란이 컸다. 이마트 공덕점 부점장은 “청소년의 경우 신분증과 학생증으로 신원을 확인하라는 본사 지시가 있었다”고 했지만 국가공인 신분증이 아닌 학생증으로 방역패스 예외 인증이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본사 답변을 기다리고 있다”며 말을 아꼈다. 또 출입구 밖 행사 매대에서는 방역패스 없이도 상품 구경이 가능했다.
유통업계는 방역패스 의무화가 자칫 설 대목 장사에 악영향을 미칠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전체 국민의 80% 이상이 2차 접종을 마친 만큼 출입 제한으로 인한 고객 감소보다는 방역패스 의무화에 따른 마찰과 혼잡으로 재방문이 줄어들까 염려하는 분위기다. 백화점과 대형마트 모두 정기세일과 설 선물세트 행사를 진행하고 있는데 집객에 차질을 빚을 경우 1분기 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편의점과 슈퍼마켓, 온라인몰 등 방역패스를 거치지 않아도 되는 경쟁 업태로 소비 수요가 옮겨갈 가능성도 있다.
백화점과 대형마트 모두 이달 16일까지 계도기간 발생하는 시행착오를 수시로 보완한다는 방침이다. 한국체인스토어협회 관계자는 “계도기간 현장에서 발생한 애로사항에 대해 회원사로부터 의견을 수렴해 산업통상자원부에 건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준호기자 junho@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