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유가와 세계경제

국제 유가 재상승하나…석유 소비국 ‘비축유 방출’에 OPEC+ ‘증산 재검토’ 맞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경이코노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1월 23일(현지 시간) 워싱턴DC 백악관 경내 사우스 코트 오디토리엄에서 에너지 관련 연설을 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유가를 낮추기 위해 비축유 5000만배럴 방출을 지시했다며, 한국을 포함해 중국과 일본, 인도, 영국 등도 동참한다고 밝혔다. (출처=AP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을 비롯한 세계 주요 원유 소비국들이 고유가를 잡기 위해 전략비축유(SPR)를 방출하기로 했다. 미국 정부는 추가 방출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유가 안정 의지를 강조했다. 하지만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非)OPEC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 플러스(OPEC+)’가 이에 대응해 석유 추가 증산 계획을 재검토할 수 있다고 맞서면서 산유국과 소비국 간의 힘겨루기가 진행되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유가 상승세를 꺾기 위해 전략비축유 방출 방침을 발표했다. 그는 11월 23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한 연설을 통해 “역대 최대 수준인 5000만배럴 규모의 비축유를 방출하기로 결정했다”며 “이를 통해 유가는 점차 안정을 찾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략비축유는 산유국 테러나 재난, 경제 봉쇄 등 사태에 대비해 보관해두는 석유로 보통 석 달 치 사용분이 저장돼 있다. 바이든 대통령 연설과 별도로 백악관도 공식 브리핑에서 비축유 추가 방출 계획에 대한 질문에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을 것”이라며 가능성을 열어 뒀다.

이번 방침은 미국뿐 아니라 한국·중국·일본·영국·인도 등 세계 주요 원유 소비국도 동참한다. 한국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미국이 제안한 비축유 공동 방출에 동참하기로 결정하고 구체적인 방출 물량과 시기를 협의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최근 급격하게 상승한 국제 유가에 대한 국제 공조 필요성과 한미 동맹 중요성, 주요 국가들의 참여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미국의 비축유 방출 제안에 동참한다”고 설명했다. 비축유를 방출하더라도 비상시 석유 수급에는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설명도 덧붙였다.

특히 미국과 갈등을 벌이고 있는 중국의 동참이 주목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15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화상 정상회담에서 비축유 방출을 요청해 중국도 이번 방출 작업을 검토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중국이 동참하기로 결정하면서 양국이 유가 안정을 위해 이례적으로 협력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평가가 나온다.

하지만 원유 소비국들의 이러한 노력에도 유가가 안정되기까지는 순탄치 않다. OPEC+는 이들의 비축유 방출 계획에 반발하며 지난 7월 합의한 하루 40만배럴 규모의 석유 증산 방침을 재검토할 수 있다고 맞섰다. OPEC+ 관계자는 지난 22일(현지 시간) “주요 석유 소비국이 전략 비축유 수백만배럴을 방출하는 것은 현재 시장 상황을 볼 때 정당하지 못하다”며 “다음 주 정례회동에서 석유 추가 증산 계획을 재고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원유 소비국들의 비축유 방출 계획 발표에도 OPEC+의 증산 계획 재검토 발언에 23일(현지 시간) 국제 유가는 강세를 보였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거래되는 서부텍사스원유(WTI) 선물 가격은 전날보다 배럴당 2.28%(1.75달러) 오른 78.5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 선물 가격도 2.91%(2.3달러) 상승한 배럴당 81.33달러를 기록했다.

전문가들도 비축유 방출보다는 OPEC+의 움직임을 더욱 주시한다. 23일(현지 시간) 블룸버그통신은 2000년 빌 클린턴 미국 행정부 사례를 들며 “시장은 OPEC의 반응에 더욱 집중하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당시 클린턴 행정부는 3000만배럴의 비축유를 방출해 일주일 만에 유가를 낮췄지만 2주 뒤 유가가 다시 원상태로 복구한 바 있다.

김일혁 KB증권 애널리스트 역시 “그동안 비축유 방출 검토 소식에 원유 투자 심리가 위축됐다”며 “방출 규모가 예상보다 크지 않다는 평가에 투자 심리가 회복했고 산유국들이 비축유 방출 선언 효과를 반감시킨 것도 유가 반등에 기여했다”고 분석했다. 김 애널리스트는 이어 “비축유 방출보다는 이란과 핵협상을 통해 이란을 원유 시장에 복귀하도록 하는 게 더 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지민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