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주중 38도까지 오른다…"2018년 수준 폭염은 유동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한낮기온 최대 38도

올해 40도 육박하는 열돔 현상 가능성은 ↓

뉴시스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정부가 폭염 위기경보 수준을 '경계' 단계로 격상한 20일 오후 서울 양천구 도심에서 양천구 청소행정과 폭염대응 도로살수차량이 도로 살수작업을 하고 있다. 2021.07.20. sccho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이준호 기자 = 사실상 장마가 지난 19일로 종료된 가운데 이번주, 극한의 폭염이 찾아올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최고 38까지 오르는 등 무더위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20일 기상청은 "우리나라 장마는 어제(19일)까지 내린 비가 장마철에 의한 비로 판단된다"며 "앞으로 국지성 소나기나 폭염이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오는 25일까지는 폭염이 더욱 강해질 것이라고 예보했다.

기상청은 "북태평양 고기압이 오는 24일까지 영향을 줄 수 있고 6호 태풍이 전달하는 열기에 낮 동안 햇볕에 의한 일사 효과로 우리나라 폭염이 더욱 극심해질 것"이라며 "이 기간 기온이 38도까지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했다.

다만 기상청은 올해 폭염이 지속돼 이른바 '열돔 현상'까지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했다.

열돔 현상은 찬 공기와 더운 공기를 섞어주는 제트 기류가 약해지며, 고기압이 이동하지 않고 뜨거운 공기층을 돔처럼 가둬 데워진 열이 밖으로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북태평양 고기압이 자리한 상태에서 인도 북부에 위치한 티베트 고기압이 가세하며 열돔이 형성된다.

역대 최악의 폭염으로 기록된 지난 2018년 당시에는 열돔 현상으로 한낮 기온이 40도에 육박하기도 했다. 그러나 올해는 고기압이 유동적인 형태로 흐를 가능성이 높아 극한의 폭염까지는 가지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기상청은 "열돔 현상은 지속성의 문제로 지난 2018년에는 북태평양 고기압과 티베트 고기압이 교차한 상태로 오랜 기간 우리나라에 머물렀다"며 "그러나 올해는 7월 하순으로 갈수록 고기압의 형태가 유동적으로 변해서 탄탄한 기압계가 형성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uno22@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