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의 한 남성이 드론을 날리는 모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FT는 “분명한 대안이 없는 한 미국이 중국 기업과 관계를 끊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했고, 미 국방부는 “지금은 드론 도입을 위한 첫 번째 단계에 불과하다”고 해명했다.
미 국방부는 그동안 1300만달러(약 149억원)를 들여 내무부를 비롯한 다른 정부기관이 쓸 드론 개발에 나섰다. 내무부는 미국 연방기관 중 가장 많은 드론을 운용한다. 자연과 자원 등을 관리하는 만큼 환경보존과 산림감시, 산불 진화 등에 드론 이용이 빈번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방부가 민간기업과 함께 개발한 이들 드론의 평균 가격은 2100달러(약 240만원) 수준으로 이전에 내무부가 구입한 중국산 드론보다 8~14배나 비쌌다.
더구나 국방부가 개발한 드론 5종 가운데 4종은 여전히 중국산 부품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T는 미 국방부가 개발한 ‘블루 드론’만 이용할 경우 내무부 드론의 센서 능력이 최대 95% 줄어들 것이라며 “블루 드론은 국방부의 특정 임무에 맞게 개발된 것으로, 내무부 임무 요구 사항을 20% 정도만 충족할 뿐”이라고 보도했다.
앞서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는 미·중 갈등이 격화하던 2019년 보안 문제 등을 들어 중국 기업이 납품했거나 중국산 부품이 들어간 내무부 드론 810대를 운행 중지시켰다. 이후 일부 드론은 산불 진화 등에 다시 투입됐지만 야생동물 추적 등 다른 임무는 제한됐다. 내무부의 추가 드론 구입도 이뤄지지 않았다
미국 정부 당국자는 바이든 행정부가 정부 소유의 전체 드론을 대상으로 안전성 등을 재검토하고 있다고 말했지만, 트럼프 행정부 시절 내려진 중국산 드론 운행중단 명령을 철회하진 않고 있다.내무부는 이에 대한 논평을 거부했다고 FT는 전했다.
이용성 기자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