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중기중앙회, 포스트 코로나 시대, 고용위기 극복 정책토론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본관 모습. 뉴시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양극화를 예방하고 고용위기 극복을 위한 일자리 정책 토론회가 17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렸다. 중기중앙회 노동인력위원회 주관으로 개최된 이번 토론회는 코로나19 이후 중소기업 중심의 일자리 창출 방안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토론회에는 서승원 중기중앙회 상근부회장과 주보원·이호석 중기중앙회 노동인력위원회 공동위원장,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미래전략연구단장, 박영범 한성대학교 교수, 정문주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정책본부장, 편도인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총괄과장, 정기환 중소벤처기업부 일자리정책과장 등이 참석했다.

서 부회장은 모두발언에서 “코로나 위기를 거치면서 대기업 취업자 수는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중소기업은 아직도 힘겨운 상황으로 K자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면서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일자리의 83.1%를 책임지고 있는 중소기업 일자리 분야에서 새로운 모멘텀을 만들어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고용위기 속에서 실업 구제와 같은 사회안전망 강화도 중요하지만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고용을 창출할 수 있도록 각종 규제와 노동 리스크를 줄여나가는 일자리 정책 패러다임 전환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발제를 맡은 노 단장은 중소기업은 대기업 대비 평균임금은 59.4%, 복지비용은 39.7%, 교육훈련비는 15.9%, 노동생산성은 30.5%, 평균 연구원 수는 3.8% 수준에 불과하다는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노 단장은 "최근 10년간 대·중소기업 간 노동시장 격차가 심화됐다"고 설명하며 "격차 완화를 위해서는 노-사-정 협업을 통해 중소기업을 매력적인 직장으로 만들기 위해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노 단장은 고졸취업자 소득확대를 지원하는 ‘중소기업 일취월장 공제 프로그램(가칭)’ 도입과 중소기업 신기술·신산업 분야 인력양성 프로그램 확대, 중소기업의 우수 R&D인력 확보 촉진, 한국형 PPP 제도 도입 등을 주요 추진과제로 제시했다.

이날 토론회를 주관한 주 위원장은 “코로나 위기를 거치며 비대면·디지털 전환이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고, 이에 따라 일하는 방식도 갈수록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 속에서 여전히 과거 산업화 공장시대에 머물러 있는 노동규제들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에게 또다른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주 위원장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고용노동정책은 이러한 패러다임 전환 속에서 중소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바탕으로 노사가 함께 상생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