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2월 취업자 47만3천명↓…'최악 고용충격' 1월보단 감소폭 줄어(종합2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로나에 12개월 연속 감소…거리두기 완화·공공일자리로 지표 개선

홍남기 "대면서비스업 고용 회복이 주요인…3월에도 개선세 이어질 것"

연합뉴스

[그래픽] 취업자 증감·실업자 수 추이
(서울=연합뉴스) 박영석 기자 = 통계청이 17일 발표한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636만5천명으로, 1년 전보다 47만3천명 감소했다. zeroground@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세종=연합뉴스) 차지연 이보배 정수연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고용 한파에 2월 취업자가 1년 전보다 50만명 가까이 줄었다.

다만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가장 심각한 '고용 충격'이 덮쳤던 1월보다는 감소폭이 축소됐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다소 완화되고 정부 공공일자리 사업 등도 시작된 영향이다.

◇ 2월 취업자 47만3천명 감소…98만2천명 감소한 1월보단 개선

통계청이 17일 발표한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 수는 2천636만5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7만3천명 감소했다.

취업자 감소는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된 지난해 3월 이후 12개월 연속으로 이어지고 있다. 외환위기 당시(1998년 1월∼1999년 4월) 16개월 연속 감소한 이후 최장기간이다.

다만 98만2천명이 감소한 1월과 비교하면 2월에는 감소폭이 절반으로 축소됐다.

1월에는 지난해 1월(56만8천명) 고용 호조의 기저효과, 거리두기 강화 영향, 연말연시 공공일자리 공백 등이 겹쳐 코로나19 사태 이후 취업자가 가장 많이 줄었다.

2월 역시 지난해 2월(49만2천명) 고용 호조의 기저효과가 작용했지만, 거리두기가 완화되고 공공일자리 공백도 메워지면서 취업자 감소폭이 전월보다 작아졌다.

계절조정 기준으로는 2월 취업자가 1월보다 53만2천명 늘었다. 이는 1999년 6월 계절조정 경제활동인구 집계 이후 가장 큰 증가폭이다.

기획재정부는 "방역상황 개선으로 대면서비스업 고용이 큰 폭으로 회복했고 수출 호조 등으로 제조업 고용이 두 달 연속 개선됐다"며 "정부 직접일자리 사업도 본격 착수돼 아직 어려운 시장 일자리 상황을 보완했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통계청, 2월 취업자 47만3천명 감소
(세종=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이 17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1년 2월 고용동향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1.3.17 kjhpress@yna.co.kr



◇ 공공일자리 사업 개시로 60세 이상 취업자 증가 전환

2월에도 숙박·음식점업(-23만2천명), 도·소매업(-19만4천명) 등 대면서비스업의 취업자 감소가 계속됐으나 1월보다는 감소폭이 줄었다.

제조업(-2만7천명)은 지난해 12월(-11만명), 올해 1월(-4만6천명)에 비해 감소폭이 축소됐다.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9만1천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3만8천명) 등 정부 일자리 사업 관련 업종은 취업자가 늘었다.

20대(-10만6천명), 30대(-23만8천명), 40대(-16만6천명), 50대(-13만9천명) 등 대부분의 연령층에서 취업자가 감소했다.

60세 이상 취업자은 1월(-1만5천명) 감소했으나 2월(21만2천명)에는 증가 전환했다. 노인 일자리 등 정부 일자리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영향이다.

임시근로자(-31만7천명), 일용근로자(-8만명)는 감소했지만, 1월보다 감소폭이 줄었다. 상용근로자(8만2천명)는 증가했다.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15만6천명)는 줄었고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4만5천명)는 늘었다.

연합뉴스

취업자 (CG)
[연합뉴스TV 제공]



◇ "작년 고용충격 기저영향 등 고려하면 3월 개선세 이어질 것"

2월에는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 증가폭도 1월보다 줄었다.

실업자는 1년 전보다 20만1천명 늘어 135만3천명을 기록했다. 1월에는 41만7천명 증가한 157만명으로, 1999년 6월 통계 개편 이후 실업자가 가장 많았다.

실업률은 4.9%로 0.8%포인트 상승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56만2천명 증가한 1천726만9천명이었다. 1월(86만7천명)보다 증가폭이 줄었다.

다만 실업자와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 잠재경제활동인구까지 포함해 체감 실업률을 보여주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15.7%로 같은 달 기준 2015년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15∼29세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도 26.8%로 통계 작성 이래 최고였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58.6%로 1년 전보다 1.4%포인트 줄었다. 같은 달 기준으로 2013년 2월(57.5%) 이후 최저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4.8%로 1.5%포인트 하락했다. 이 역시 같은 달 기준 2014년 2월(64.6%) 이후 최저치다.

고용 상황은 1월 저점을 찍고 2월 비교적 개선됐다는 평가다. 3월에도 취업자 증감폭 등 주요 지표에 작년 3월(-19만5천명) 기저효과 등이 반영돼 개선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월 고용동향은 코로나19 3차 확산으로 인한 고용시장의 어려움이 눈에 띄게 완화된 모습"이라며 "방역 여건 개선으로 대면서비스업 고용이 빠르게 회복한 것이 주요 요인"이라고 말했다.

이어 "백신접종 개시, 방역 거리두기 완화, 수출 개선세 지속, 작년 3월 고용 충격에 따른 기저 영향 등을 감안하면 3월에도 고용지표 개선세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charg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