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2보] 11월 취업자 27만3천명↓…감소폭 줄었지만 9개월 연속 감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999년 이후 최장기간 감소…실업률 3.4%, 11월 기준 2004년 이후 최고

연합뉴스

구직자
[연합뉴스TV 제공]



(세종=연합뉴스) 차지연 이보배 정수연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이 계속되면서 11월 취업자 수가 27만명 넘게 감소했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1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724만1천명으로, 1년 전보다 27만3천명 감소했다.

취업자 수는 3월(-19만5천명), 4월(-47만6천명), 5월(-39만2천명), 6월(-35만2천명), 7월(-27만7천명), 8월(-27만4천명), 9월(-39만2천명), 10월(-42만1천명)에 이어 9개월 연속 줄었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후인 지난 1998년 1월∼1999년 4월까지 16개월 연속 감소한 이후 최장 기간이다.

다만 지난 10월 사회적 거리두기가 1단계로 하향되면서 감소폭은 줄어들었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은 취업자가 37만2천명 늘었으나, 20대(-20만9천명), 30대(-19만4천명), 40대(-13만5천명), 50대(-7만4천명)는 모두 감소했다.

산업별로는 도·소매업(-16만6천명), 숙박·음식점업(-16만1천명), 제조업(-11만3천명) 등에서 줄었다.

반면 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행정(15만2천명),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11만4천명), 건설업(7만7천명) 등에서는 늘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가 16만9천명 줄었고 비임금근로자가 10만5천명 감소했다.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3만8천명 늘었으나 임시근로자(-16만2천명)와 일용근로자(-4만4천명)가 감소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0.7%로 1년 전보다 1.0%포인트 줄었다. 11월 기준으로 2013년 11월(60.7%) 이후 최저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6.3%로, 1년 전보다 1.1%포인트 하락했다.

실업자는 96만7천명으로 1년 전보다 10만1천명 늘었다.

실업률은 3.4%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 상승했다. 11월 기준으로 2004년 11월(3.5%) 이후 가장 높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67만5천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43만1천명 늘었다.

특히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으로 분류된 사람은 235만3천명이었다.

'쉬었음' 인구는 50대(1만7천명↓)를 제외한 20대(8만8천명↑), 30대(3만9천명↑), 40대(3만3천명↑), 60세 이상(6만8천명↑) 등에서 모두 늘었다.

구직단념자는 63만1천명으로 14만4천명 늘었다.

boba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