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9 (금)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가야 무덤이라는 창녕 고분, 쏟아져 나온 건 신라 장신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학계 “이미 신라에 편입됐다는 증거”

조선일보

경남 창녕 교동 63호분에서 금동관이 노출된 모습.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가야인가 신라인가. 경남 창녕 교동 고분에서 금동관 등 신라 장신구가 무더기로 쏟아져 나왔다. 발굴단은 “5세기 후반~6세기 초 비화가야 지배층의 무덤”이라고 밝혔지만, 피장자의 몸을 감쌌던 장신구 일체는 모두 신라 유물이라 고분의 성격을 둘러싸고 향후 논란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문화재청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사적 제514호)에서 도굴되지 않은 교동 63호분을 지난 1년간 발굴한 성과를 28일 발표했다. 높이 21.5㎝의 금동관을 비롯해 관 좌우에 길게 늘어뜨린 장식인 금동 드리개와 금동 막대 장식, 굵은 고리 귀걸이 1쌍, 유리 구슬 목걸이, 은반지 4점, 은허리띠 등 ‘머리에서 허리까지’ 장신구 일체가 나왔다. 연구소는 “신발이 발견되지 않았을 뿐 지난 9월 화제가 됐던 경주 황남동 신라 귀족 여성 무덤과 판박이 구성”이라고 했다.

조선일보

창녕 교동 63호분 석곽 내 피장자 장신구 일체가 노출된 모습.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라 유물로 치장한 비화가야 수장?

교동 63호분은 봉토 지름 21m, 높이 7m의 대형 봉토분으로 남북이 약간 긴 타원형이다. 이 일대 고분군에서 도굴 피해를 보지 않은 흔치 않은 사례다. 경주 고분은 돌무지가 잔뜩 쌓여 있어서 도굴꾼이 팔 수 없는 구조인 반면, 창녕 고분은 맨 위 뚜껑돌만 열면 빗자루로 쓸어담을 수 있는 구조라 일제강점기 도굴꾼들의 표적이 됐다. 다행히 63호분은 나중에 축조된 39호분 봉토에 가려져 화를 피할 수 있었다.

조선일보

창녕 교동 63호분 및 주변 고분 전경.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금동관은 맨 아래에 너비 약 3㎝의 관테가 있고, 그 위에 3단의 나뭇가지 모양 장식 3개를 세운 형태. 관테 아래 곱은옥과 금동구슬로 이뤄진 금동 드리개를 늘어뜨렸고, 관테 양 측면에는 원통형 금동막대 장식이 드리워져 있다. 이한상 대전대 교수는 “전형적인 신라 양식의 금동관”이라고 했다. 금동관 내부에는 관모(冠帽·모자)로 추정되는 직물의 흔적이 남아 있었다.

무덤 주인공의 것으로 보이는 치아도 6점 확인됐다. 양숙자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장은 “아직 흙더미인 상태에서 육안으로 보이는 치아만 6점”이라며 “허리에 큰 칼을 차는 대신 작은 손칼 2점이 나왔고, 굵은 고리 귀걸이가 나온 점 등으로 볼 때 여성으로 추정된다. 목관의 꺽쇠 위치 등으로 보아 키는 155㎝ 정도”라고 했다.

순장의 흔적도 나왔다. 무덤 주인공의 발치 바닥을 약 40㎝ 낮춘 공간에 순장자 2명이 안치된 것으로 보인다. 이곳에서 순장자의 것으로 추정되는 치아 일부와 다리뼈 일부, 금동제 가는 고리 1점, 항아리 2점, 쇠도끼 2점과 쇠낫 1점이 출토됐다.

조선일보

창녕 교동 63호분 석곽 내 유물 노출 모습.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학계 “이미 신라에 편입됐다는 증거”

연구소는 “장신구는 신라계 유물이지만 무덤 구조는 전형적인 가야 양식”이라며 “비화가야 지배세력이 신라에서 받은 위세품(威勢品·왕이 지방세력 수장에게 힘을 과시하고 세력권에 편입하기 위해 하사하는 귀한 물품)을 묻었거나, 당시로선 가장 선진문물이었던 신라 스타일을 모방해 직접 만든 것일 수도 있다”고 했다.

하지만 학계에선 “금동관 등 장신구를 착장한 방식이 신라 무덤 양상과 일치한다는 건 창녕 일대가 이 시기에 이미 신라에 확실하게 편입됐다는 증거”라는 반론이 나왔다. 이한상 교수는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은 학계에서 가야냐 신라냐를 두고 논란이 계속돼왔는데, 이번 발굴로 신라라는 것이 더 확실해졌다”며 “무덤 양식은 가장 보수적인 것이라 신라에 편입된 이후에도 그 지역 고유의 풍습이 남아있을 수 있다”고 했다.

조선일보

창녕 교동 63호분 금귀걸이가 노출된 모습.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3월 끝난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가야본성-칼과 현’에서도 창녕 유물을 죄다 ‘비화가야’로 소개해 논란이 됐었다. 국내 가야사 연구를 대표하는 김태식 홍익대 교수는 당시 본지 통화에서 “창녕 고분은 5세기 이후는 신라로 봐야 한다”고 했다.

문화재청은 최근 2020년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신청 대상으로 ‘가야고분군’을 선정한 바 있다. 김해 대성동 고분군, 함안 말이산 고분군 등 7곳으로 구성된 연속유산으로, 이 안에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이 포함돼 있다.

조선일보

창녕 교동 고분 조사 지역 전경.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허윤희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