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철원 현대사기록연구원장, '박정희 쿠데타 개론' 출간
일반적으로 쿠데타는 군대, 경찰 등의 무장집단 등에 의해 은밀하게 계획되고 기습적으로 감행된다. 정권탈취 후에는 군사력을 배경으로 계엄령 선포, 언론 통제, 반대파 숙청, 의회 정지, 헌법 개폐 등의 조치를 취한다.
송철원 현대사기록연구원 원장은 신간 '박정희 쿠데타 개론'을 통해 한국의 현대 쿠데타 역사를 정리했다.
5·16쿠데타 직후 박정희와 차지철, 박종규 등 그 주역들이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육군사관학교 생도들의 지지 시가행진을 바라보는 모습. [촬영=김천길 전 AP통신 기자. 재배포 및 DB 금지] |
쿠데타라고 하면 박정희 전 대통령을 떠올리곤 한다. 저자는 여기서 더 나아가 이승만ㆍ전두환 전 대통령의 행적도 쿠데타 관점에서 바라본다.
박 전 대통령에 대해선 그동안 많은 책이 출간됐다. 주로 그의 업적을 찬양하거나 '근대화의 아버지'라는 견해를 담은 것들이었다.
하지만 저자는 이를 도저히 긍정할 수 없다며 그 근거들을 제시한다. 실체를 온전히 알아야 어두운 역사도 제대로 청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송 원장은 "가짜를 가차 없이 몰아내고 진짜가 위세를 떨치는 세상을 만드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 바란다"고 말한다.
쿠데타의 범주에 이승만, 전두환을 포함시킨 것은 박정희가 한국 쿠데타의 중심이자 최정점이기 때문이란다.
박정희는 이승만을 타도하려는 쿠데타 시도에 가담해 처음으로 쿠데타를 학습했고, 그후 몇 차례 쿠데타를 도모해 마침내 성공했다. 전두환 역시 박정희를 학습하고 계승해서 쿠데타에 성공했다고 들려준다.
먼저 이승만은 1952년 부산정치파동 때 비상계엄령을 선포했다. 이는 사실상 국가권력을 탈취한 쿠데타였다는 게 저자의 시각. 이런 이승만을 무너뜨리려는 이용문(1916~1953) 준장의 쿠데타 시도에 박정희가 가담했다. 이용문이 비행기 사고로 사망한 뒤에도 박정희 쿠데타는 씨앗을 키워간다.
박정희는 1960년 5월 8일 이승만 타도 쿠데타를 계획했으나 4·19혁명이 먼저 일어나 무산됐다. 그리고 이듬해 4·19혁명 1주년 기념일에 쿠데타를 일으키려 했지만 역시 학생들의 '침묵시위'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다음달 5월 12일로 계획을 미뤘으나 비밀 누설로 일시 중단했다. 그리고 나흘 후 5·16쿠데타를 일으켜 성공하기에 이른다. 이렇듯 박정희의 쿠데타 뿌리는 이승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것이다.
1979년 12·12쿠데타는 전두환이 18년 동안 박정희의 측근으로 관찰하고 학습한 소산이었다고 저자는 말한다. 5·16쿠데타 다음날 박정희를 만난 그는 5월 18일 육관사관학교 생도들의 5·16 쿠데타 지지시위를 성사시킴으로써 박정희의 최측근이 됐다.
송 원장은 "그래서 1979년 12월 12일과 1980년 5월 17일에 전두환의 신군부가 일으킨 쿠데타는 박정희의 유신 쿠데타를 계승한 신유신 쿠데타였다"고 단정한다.
그는 이어 "한국 현대사의 초반은 이승만·박정희·전두환의 쿠데타 놀이로 얼룩졌다"며 "이들이 누린 권력은 정당한 방법이 아니라 쿠데타라는 불법적 행위를 통해 연장되거나 탄생된 것이니 이들은 사실상 가짜 집권자였다"고 주장한다.
이와 함께 "한국 현대사에서 가짜들의 원조는 친일파"라고 규정한 뒤 "나라를 판 대가로 호의호식하다 일제가 패망하고 미군이 상륙하자 어느새 모습을 바꿔 반공을 외치며 가짜 애국자로 둔갑한 군상들이 일제로부터 해방된 나라의 중심이었고, 점차로 기득권 세력을 형성하며 우리 사회를 주물러 왔다"고 비판한다.
책의 제1부는 박정희가 태어나 일제의 식민지 교육을 통해 일본화되는 과정과 체질화된 식민사관을 국민에게 강요한 내용을 다루고, 2부는 그가 교사를 그만두고 만주로 넘어가서 일본군으로 변신했으나 일제 패망 후 귀국해 한국군, 남로당 비밀당원 등으로 잇달아 변신하는 과정을 서술한다. 마지막 3부는 한국 쿠데타를 개괄한 뒤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의 순서로 그 역사를 살핀다.
저자는 후속작 '박정희와 일본'을 5·16쿠데타 60주년을 맞는 내년 초에 펴낼 예정이다.
도서출판 현기연. 576쪽. 2만8천원.
ido@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