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신도시 이모저모

대전·충남 숙원 이뤘다…혁신도시 지정 `확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전과 충남의 숙원이었던 혁신도시 지정이 확정됐다.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8일 제28차 본회의를 열어 국토교통부가 심의를 요청한 충남과 대전 혁신도시 지정안을 의결했다. 균형위는 공공기관 지방 이전 방안 등이 결정되지 않은 점을 감안해 대전·충남 혁신도시의 이전기관 규모와 구체적인 입지·면적 등은 향후 별도로 결정하라고 덧붙였다. 이로써 전국 혁신도시는 12개로 늘어나게 됐다. 국토부는 이달 중 충남과 대전을 혁신도시로 지정 고시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혁신도시 지정으로 대전역을 중심으로 한 원도심을 발전시켜 동서 불균형을 해소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대전의 새로운 미래 100년을 설계할 수 있게 됐다"고 반겼다. 허태정 시장은 "혁신도시 지정으로 대전은 이전하는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연구소, 지역대학 인재들이 결합해 산·학·연 국가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하는 터전을 마련했다. 대전은 4차산업혁명을 선도하고, 원도심과 신도심이 조화를 이루는 균형발전의 본보기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매일경제

허태정 대전시장이 8일 혁신도시 추가 지정을 환영하는 성명을 발표한 후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제공 = 대전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충남도는 "혁신도시 지정을 이뤄냈다. 도청 등이 이전해 건설된 내포신도시는 서해의 중심 배후도시로 성장하는 것은 물론 국가발전축을 남북에서 동서로 전환하는 동력이 될 것"이라며 환영했다. 양승조 지사는 "새로운 국가발전전략은 균형발전이며 충남의 혁신도시 완성이 곧 대한민국의 새로운 비전의 완성"이라며 "혁신도시 지정으로 제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의 그릇이 만들어진 만큼 알차게 내용을 채우는 계획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혁신도시는 공공기관의 지방이전과 산·학·연·관 협력을 바탕으로 지역의 성장거점지역에 조성되는 도시를 말한다. 지역에서는 수도권지역에서 이전하는 공공기관을 입주시킬 수 있는 것을 가장 큰 메리트로 여기고 있다. 두 도시는 혁신도시에 수도권지역의 공공기관과 민간기업, 연구소 등을 유치해 지역발전을 견인하겠다는 계획을 마련해 놓고 있다. 혁신도시가 활성화되면 정주인구가 증가하는 것은 물론 주택·교육·의료·문화·체육시설 등 정주여건도 대폭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수도권에서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공공기관들은 지역인재를 의무적으로 최대 30%까지 채용해야 하기 때문에 지역 대학과 고교 졸업생들의 취업문이 활짝 열리게 될 것이란 기대에서다.

매일경제

양승조 충남지사는 8일 혁신도시 지정이 확정된 뒤 기자회견을 열고 "도민 여러분이 새 역사를 만들었다"며 소감을 밝히고 있다. [사진 제공 = 충남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전시는 대전역세권지구와 연축지구를 혁신도시 입지로 구상하고 있다. 대전역 주변 92만3000㎡ 규모인 대전역세권지구에는 중소기업과 교통·지식 산업 관련 공공기관을 유치하겠다는 계획이다. 대덕구 연축동 일원 24만8700㎡ 규모의 연축지구에는 과학기술 관련 공공기관을 유치를 염두하고 있다.허태정 대전시장은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이라는 숙제가 남아 있지만, 혁신도시 지정이 대전이 시민과 함께 새롭게 도약하는 전환국면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충남도는 충남도청이 이전한 홍성·예산군 일대 내포신도시를 지난 7월 혁신도시 입지로 명시해 놓은 상태다. 이곳에 환경과 해양, 문화·체육 관련 공공기관을 유치해 환경기술·해양환경·문화·체육 산업 연구개발 거점 도시로 만들겠다는 것이 충남도의 계획이다. 양승조 충남지사는 "국가균형발전을 충남이 주도해 나아가겠다"며 "대한민국의 더 큰 미래를 향해 충청남도가 더 큰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조한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