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위 협업 툴 김대현 토스랩 대표
한국 넘어 ‘아시아의 슬랙’이 목표
김대현 대표가 8일 서울 테헤란로 패스트파이브 선릉점에서 인터뷰하고 있다. [사진 토스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잔디밭에 편안히 앉아 도란도란 대화하는 동료들. 국내 1위 협업 툴 ‘잔디’가 꿈꾸는 직장의 모습이다. 사방이 탁 트인 잔디에선 윗사람과 옆사람이 하는 일을 쉽게 알 수 있다. 빠르고 수평적인 업무 환경이다.
원격근무 도입이 빨라지고,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과 열린 소통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협업 도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모바일 협업 앱 ‘잔디’를 운영하는 ‘토스랩’이 최근 소프트뱅크벤처스 등에서 140억원을 투자받은 이유다. 2015년 서비스를 시작한 잔디는 업무용 모바일 플랫폼이다. 메신저와 문서관리 기능 등을 제공한다. 서비스 시작 5년 만에 60여 개국 20만 팀 200만 명이 쓰는 국내 최대 협업 툴(사용자 수 기준)로 성장했다. 무신사·해피콜 등 스타트업과 넥센타이어·한양건설 등 임직원 1000명 이상의 중견 기업들이 잔디의 주요 고객사다.
지난 8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의 한 공유오피스에서 김대현(37) 토스랩 대표를 만났다. 김 대표는 창업 전 티머니 해외사업 영업대표, 티몬 로컬사업부 기획실장을 거치며 중견 기업과 스타트업의 조직문화를 두루 경험했다.
Q : 왜 창업했나.
A : “의사결정이 조직 전체에 전파되지 않아 생기는 비효율이 많았다. 조직의 리더가 실력이 아닌 정보 접근성만으로 권위를 세우고, 남의 공을 가로채는 경우도 잦았다. ‘서로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만 공유해도 좀 나아지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하던 참에 2013년 미국에서 슬랙이 나왔다. 아시아에도 슬랙 같은 서비스가 필요해질 것이란 확신이 들어 창업했다.”
Q : 조직이 협업 툴 도입만으로 달라질까.
A : “협업 툴은 다 같이 있는 공간에 정보를 공유하도록 설계돼있다. e메일, 일대일 대면으로 지시받던 때보다 훨씬 많은 것들이 전달된다. 협업 툴에 한번 익숙해지면 과거의 수직적 소통으론 돌아갈 수 없다.”
토종 협업툴 ‘잔디’는.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협업 툴은 최근 떠오른 시장이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드마켓에 따르면 지난해 310억 달러(37조원) 규모였던 세계 협업 툴 시장은 2024년 480억 달러(57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한국에서도 시장 선점을 위한 각축전이 벌어지고 있다. 네이버의 라인웍스, NHN의 두레이 등 국내 정보기술(IT) 대기업이 대거 뛰어들었다. 카카오도 지난 16일 메신저 기반의 협업 툴 카카오워크를 출시했다.
Q : 협업 툴 시장 전망은.
A : “e메일에서 실시간 소통이 되는 메신저(페이스북 메신저·왓츠앱·카카오톡 등)로 옮겼다가, 다시 업무용 협업 툴로 옮겨가는 흐름이다. 개인의 삶과 업무를 분리하기 위해서다. 사실 협업 툴 자체가 막 떠오르는 시장이다. ‘아시아의 슬랙’이 되겠다.”
김정민 기자 kim.jungmin4@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