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이슈 항공사들의 엇갈리는 희비

국토부 "M&A 무산 이스타항공, 플랜B 제시하면 지원책 검토"(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상도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은 23일 "인수합병(M&A)이 결렬되면서 이스타항공의 경영정상화가 불투명해졌다"며 "이스타항공은 고용불안 등을 해소할 수 있는 플랜B를 제시해야 한다"고 했다.

김 실장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항공산업 현안 브리핑에서 "여러차례 두 회사의 최종 의사결정권자를 만나고, 수시로 전화통화를 하는 등 조속한 M&A 실행을 위한 중재자 역할을 해왔다"며 "다만 제주항공이 전날(22일) 이스타항공에 인수합병(M&A) 계약해지를 통보했고, 안타깝게 생각한다. 이스타항공이 플랜B를 제출하면 검토해서 추가 지원책을 고민하겠다. 근로자 피해방지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조선비즈

지난 3월 22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 내 이스타 항공 카운터가 텅 비어 있다. 이스타항공은 지난 9일 국제선 운항을 중단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주항공은 23일 이스타항공 경영권 인수를 위한 주식매매계약(SPA)을 해제했다고 공시했다. 작년 12월18일 SPA 체결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맺은 지 7개월여만, 지난 3월2일 SPA를 맺은지 4개월여 만이다.

두 회사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심각한 유동성 위기에 처하면서 계약서상 선결조건 이행을 놓고 갈등을 빚어왔다. 이스타항공의 미지급금은 체불임금 250억원을 포함해 1700억원이 넘었다. 이 과정에서 이스타항공의 셧다운과 체불임금에 대한 책임 공방이 벌어지며 갈등이 커지기도 했다.

김 실장은 "당초 3월에 계약을 체결할 때만해도, 미지급금이 800억원 수준으로 예측됐으나, 불과 몇개월 만에 최대 1800억원까지 늘어난 상황"이라며 "임금체불 문제에 대해서는 사주 측의 110억원 부담과 직원들의 고통분담을 비롯해, 이스타 측에서 항공기 리스회사와 정유사 등을 만나 협의를 했지만 큰 성과가 없었다. 제주항공으로서도 재무적 부담을 덜 수 있었던 기회였는데 아쉽다"고 했다.

M&A가 불발되면서 향후 이스타항공 파산과 직원 1600명의 대량 실직 우려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김 실장은 "고용문제가 심각한데, 정부가 먼저 지원책을 제시하기는 어렵고 이스타항공이 플랜B를 발표하면 정부는 긍정적으로 내용을 검토하려고 한다"며 "이스타항공이 직원의 고용안정 방안 찾으면 적극적으로 도와줄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정부의 임금채권보장기금을 통해 근로자에게 3개월치 임금 최대 930만원, 퇴직금 최대 930만원 등 총 1860만원을 지원할 수 있다"며 "다만 전제조건이 법정관리를 신청해야 하고, 고용 관련 기관이 인정을 해줘야한다. 또 직원들이 퇴직을 해야하기 때문에 이건 가장 마지막 수단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동안 이스타항공은 코로나19 상황에서 따라 국제선 운항이 97% 가량 중단되면서 운영자금 부족에 시달려 왔다. 이스타항공의 올해 1분기 자본 총계는 마이너스(-) 1042억원으로, 이미 완전 자본잠식 상태다.

김 실장은 "이스타항공은 대형항공사와 달리, 화물수송을 안하고 여객수송에 의존하다보니, 코로나19에 따라 운영자금 문제를 겪고있다"며 "특히 고객들의 예약금 환불이 늘면서, 그 비용을 내부 자금으로 사용해 금고가 사실상 비어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고용안정기금으로 통해 LCC산업 지원을 계속 금융위원회와 산업은행 등 관계부처와 협의중에 있다"고 덧붙였다.

김 실장은 국토부의 M&A 개입이 늦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김 실장은 "딜 초기부터 계약 성사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지원했고, 관계부처 협조 등 꾸준히 노력해왔다"며 "양사 최고의사결정자를 여러 차례 만났고, 유선으로도 수시로 상황을 공유했다. 외부에 얘기를 안했는데, 국토부는 계속해서 적극적인 중재를 하고 있었다"고 했다.

세종=박성우 기자(foxpsw@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