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0 (목)

日, 시진핑 초청했지만...'이젠 안되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집권 자민당, 시진핑 국빈방일 반대결의
스가 관방장관 "진지하게 받아들이겠다"
中, 국제사회 비난에도 홍콩문제 강행
중일간 영토갈등에서도 실력행사 할까 우려
'포스트 아베' 기시다의 자민당 강경파 껴안기 측면도


【도쿄=조은효 특파원】 일본 집권 여당인 자민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국빈방일 저지에 나섰다. 정부간 관계 악화에도 완충지 역할을 해온 의회 외교가 강경기류에 휩싸인 것이다.

9일 요미우리신문 등에 따르면 자민당 지도부는 당 외교부회와 외교조사회 명의로 된 시진핑 주석 국빈방일 취소를 요구하는 결의안을 전날 일본 총리관저의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에게 전달했다. 스가 관방장관은 "제대로 진지하게 받아들이겠다"고 밝혔다.

기시다 후미오 자민당 정무조사회장(전 외무상)은 같은 날 당 본부로 쿵쉬안유 주일 중국대사를 불러, 중국 정부의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시행과 관련한 자민당의 강경한 입장을 전달했다.

이번 결의안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속한 자민당 강경파의 작품이다. 일본 내에선 중국이 국제사회의 비난에도 홍콩보안법 시행을 강행한 것을 놓고, 향후 국제 질서를 무시한 채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비롯해 나아가 남중국해 문제에 있어서도 실력 행사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미국의 대중 포위망 결성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판단이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지난 5월 기자회견에서 미·중 갈등과 관련 "미국과 함께 갈 것"이라고 입장을 분명히 했다.또 다른 요인은 차기 총리 구도와 연결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포스트 아베' 중 한 명이자 자민당 온건파인 기시다 후미오 정조회장이 총리 자리에 도전하기 위해 '보수 강경파'의 입맛에 맞게 움직였다는 것이다.

그가 속한 기시다파는 전통적으로 미·일 동맹을 중시하면서도, 주변국과 대립보다는 경제협력을 강조해 왔다. 이번 결의안은 과거 기시다파와는 다소 결이 맞지 않는 것이다.

다만, 자민당 강경파의 반중 기조에 당내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이번 결의안이 당론이 아닌 외교부회, 외교조사회 명의로 나간 것도 당 내 2인자인 니카이 도시히로 간사장의 반대가 있었기 때문이다. 친중파로 분류되는 니카이 도시히로 자민당 간사장은 "일·중 관계를 위해 선배들이 해온 노력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라며 당론으로 채택되는 것을 저지했다고 한다. 그럼에도 18대 5로 강경파가 우세했고, 일부 문구 수정 등을 통해 아베 총리에게 전달됐다.

당초 아베 총리는 시진핑 국가주석의 국빈 방일 성사에 적지않은 공을 들였다. 지난해 8월 오사카에서 열린 주요20개국(G20)정상회의와 이어 그해 12월 베이징에서 열린 중·일 정상회담에서 직접 시주석에게 국빈 방일을 초청했었다. 당시만 해도, 중국과 우호관계를 형성하는 게 동북아에서 일본 외교의 입지를 높일 기회라고 본 것이다.

동시에 나루히토 일왕 즉위로 시작된 레이와(令和)시대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이어 시주석의 방일이 성사된다면, 아베 총리의 외교적 성과로 가져갈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코로나19 감염 확산 사태만 아니었으면, 시주석의 방일은 올 4월에 이뤄졌을 것이나 현재는 홍콩문제, 코로나 확산 등으로 연내 방일 자체가 불투명해졌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