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로봇이 온다

마스크 안쓴 사람 보더니 "마스크 쓰세요"…SKT가 만든 방역 로봇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주현 기자]
머니투데이

코로나19방역로봇이 방문객에게 손 소독제를 제공하고 있는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자율주행 로봇이 건물 로비를 돌아다니며 방문객의 체온을 체크하고 손 소독제를 제공한다. 마스크를 쓰지 않은 사람에게 다가가 마스크 착용을 권한다. 또 낮에는 스프레이로 방역을 하고 방문객이 없는 밤에는 UV램프를 이용한 방역을 시행한다.

첨단 ICT(정보통신기술) 로봇이 코로나19(COVID-19) 확산 방지에 나선다. SK텔레콤은 공장 자동화 전문 기업 한국오므론제어기기와 코로나19방역로봇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양사는 체온 검사, UV램프를 이용한 방역 등 기존에 사람이 하던 업무를 로봇이 대신해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코로나19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코로나19 방역로봇은 이날부터 서울 을지로의 SK텔레콤 본사에서 방역 활동과 출입객 체온 검사,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권유 등 코로나19 확산 방지 활동을 시작한다.

SK텔레콤과 오므론은 이번에 개발한 코로나19방역로봇을 자사 시설에 우선 도입해 활용 후 올해 하반기 공식 출시할 계획이다. 양사는 앞선 시장 경쟁력을 바탕으로 내년에는 해외 시장 공략에 나설 예정이다.

SK텔레콤과 오므론이 함께 개발한 코로나19 방역로봇에는 5G, AI 등 첨단 ICT와 로봇 자율주행, 사물인터넷(IoT) 센싱 등 공장 자동화 제어 기술이 적용됐다.

로봇은 5G 네트워크로 서버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아 자율 주행, 체온 검사, 방역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로봇이 측정한 체온 검사 데이터를 5G로 서버에 보내고 서버는 이를 분석해 체온이 높을 경우 현장에서 출입을 제한하는 방식이다.

또 로봇에는 SK텔레콤이 자체 개발한 AI 기반 인식 기술이 적용돼있다. 사람들이 몰려 있는 경우 로봇이 다가가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을 요청하고 마스크를 쓰지 않은 사람에게는 마스크 착용도 권유한다.

SK텔레콤은 코로나19방역로봇에 자사의 5G 기반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메타트론'도 적용했다. 메타트론은 로봇에 부착된 센서로 로봇을 구성하는 주요 부품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로봇의 현 상태 확인과 유지보수가 필요한 시점을 실시간으로 예측한다.

최낙훈 SK텔레콤 인더스트리얼데이터사업 유닛장은 "국가적 재난 극복에 기술을 통해 힘을 보태고 앞으로도 5G, AI 등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해 언택트 시대에 맞는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코로나19방역로봇이 출입객의 체온과 마스크 착용 여부를 검사하고 있는 모습/사진제공=SKT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주현 기자 naro@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