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한국 성장률 전망치 ‘1%대 하향’ 잇따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코로나19’ 31번째 확진자 첫 진료받은 수성구 보건소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31번째 확진자가 감염증 의심 증상을 보여 첫 진료를 받은 대구시 수성구 보건소가 18일 오전 폐쇄되고 있다. 2020.2.18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해외 금융기관과 국제신용평가사들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잇따라 1%대로 하향 조정하고 있다.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가 한국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코로나19 사태가 올 상반기까지 장기화되면 올 성장률이 0%대로 추락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노무라 “코로나 장기화 땐 0%대 추락”

노무라증권은 18일 “코로나19로 인한 지역 공급망 차질과 중국 수요 약화, 중국 방문객 감소로 한국 경제의 회복세가 지연될 것”이라며 “전염병이 통제되면 올 성장률이 지난해(2%)보다 약간 낮은 1.8%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중국의 봉쇄 조치가 이달 말에 끝나고 코로나19 확산이 중국 내로 제한된다는 기본 시나리오다. 하지만 봉쇄 조치가 4월 말까지 이어지면 한국의 올 성장률은 1.3%, 6월 말까지 계속되면 0.5%까지 떨어질 것으로 봤다. 수출과 관광 부문에 충격이 더 커지고 국내 서비스 산업도 위축돼 노동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다.

같은 이유로 세계 3대 신용평가사인 무디스는 지난 16일(현지시간) 한국의 올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1%에서 1.9%로 내렸다. 영국의 경제분석기관 캐피탈 이코노믹스도 최근 2.5%에서 1.5%로 대폭 낮췄다.

●애플도 비상… 1분기 매출 달성 어려워

대외경제정책연구원도 “코로나19 장기화로 중국산 중간재 공급에 차질이 생기면 세계 주요국 중 한국이 두 번째로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산 중간재 중 한국이 수입하는 규모는 2017년 기준 751억 8750만 달러(약 89조원)로 전체의 6.5%에 이른다. 미국(10.7%)에 이은 세계 2위다.

세계적인 정보통신기술(ICT) 기업 애플도 코로나19 때문에 1분기 실적 목표 달성이 어려워졌다고 밝혔다. 애플은 17일(현지시간) “당초 예상보다 중국 현지 공장의 정상화가 늦어지고 있다”며 “코로나19 사태로 올 1분기 매출 전망치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애플은 중국에서 아이폰을 비롯한 주력 상품을 생산하고 전체 매출의 20%가량을 중국에서 벌고 있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