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구체적 시기 등은 최종 조율을 거쳐야 하지만 시 주석의 방한은 확정적이라고 보셔도 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3일 한중일 정상회의가 열리는 청두(成都)를 방문하기에 앞서 들른 베이징에서 한중 정상회담을 하고 시 주석에게 내년에 방한해줄 것을 요청한 바 있다.
시 주석의 방한이 사실상 확정 단계에 접어들면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의 한반도 배치로 촉발된 양국의 갈등이 내년에 완전에 해결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양국은 2017년 10월 '모든 교류 협력을 정상 궤도로 조속히 회복한다'는 내용의 공동 발표 후 사드 갈등을 '봉인'한 상태다.
문 대통령은 회담에서 "2021년은 한국 방문의 해이고 2022년은 중국 방문의 해이자 양국 수교 30주년"이라며 "2022년을 한중 문화관광 교류의 해로 지정하고 내년부터 인적·문화교류를 더 촉진하자"고 제안했다고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전했다.
이에 시 주석은 "(그런) 행사를 하겠다"고 답했다는 것이 청와대의 설명이다.
청와대는 아울러 내년에 한국이 개최할 예정인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에 리커창(李克强) 중국 국무원 총리가 방문할 가능성이 크게 열려있다고 밝혔다.
시 주석과 리 총리가 잇따라 한국을 방문한다면 북미 대화의 교착 상태에서 좀처럼 진전을 보지 못하는 한반도 비핵화에도 진전을 기대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중 정상은 지난 23일 회담에서 북미 간 대화 모멘텀을 유지해야 한다는 데 공감하는 한편, 중국과 러시아가 16일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제출한 제재 완화 결의안을 두고도 의견을 교환한 바 있다.
북미가 서로를 향한 적대적 언사와 태도를 자제하고 대화의 모멘텀을 유지한 상태에서 시 주석과 리 총리의 방한이 이어질 경우 문 대통령의 비핵화 '촉진자역'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도 "중국이 이번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생각을 전한 것은 아니었지만 한중이 대화 모멘텀을 살려 나가기로 한 데 의미가 있다"며 "그것이 한반도 평화를 견인할 수 있게 긍정적 역할을 하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이번 한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중 간 교류·협력이 한 단계 더 증진할 것으로 내다봤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