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0%대 추락… 2021년부터 상승 전망
한은은 이날 발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근원물가 상승률 둔화의 배경 및 시사점'에서 "내년 중 근원물가 상승률은 올해에 이어 낮은 오름세를 보이다가 내년 정부정책의 영향이 축소되고 경기가 개선되면서 점차 높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번 전망에는 국내외 경기여건과 복지정책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리스크 요인으로 잠재한다고 단서를 달았다.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 상승률이란 한 나라의 기조적인 물가 흐름을 보기 위해 유가나 농산물 등 가격 등락이 심한 품목을 뺀 나머지 상품·서비스 가격을 기준으로 계산한 지표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근원물가 상승률은 2000~2011년 평균 2.7%였다가 2012~2015년 1.6%로 낮아지더니 2017년부터는 1% 초반대로 내렸다. 올해 들어서는 0%대까지 하락했다.
우리나라와 다르게 해외 주요국의 근원물가 상승률은 1~2%대를 유지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10월 한국의 근원물가 상승률은 0.6%로 미국(2.3%), 영국(1.7%), 독일(1.6%) 등 주요 선진국보다 낮다.
한은이 우리나라의 근원물가 상승률 둔화 요인으로 추세적 요인과 단기적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추정한 결과, 2012년 이후 발생한 근원물가 상승률 둔화의 배경은 시기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2012~2015년 중 근원물가 상승률 둔화는 글로벌 및 구조적 요인의 영향으로 주요국의 인플레이션 움직임과 동조화되면서 추세인플레이션이 낮아진 데 크게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이후에는 글로벌 요인 외 정부의 복지정책과 전월세 가격 등 지속성이 높은 국내요인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올해는 성장률이 2% 수준에 그치는 등 경기둔화에 따른 물가 상승 압력 축소가 배경이 된 것으로 분석했다.
주요국과 비교하면 2012~2015년 중에는 우리나라의 상품 및 개인서비스 물가상승률이 주요국과 동반해 둔화했고, 공공서비스 물가도 큰 폭의 마이너스 상승률로 전환했다.
반면 2017년 이후에는 집세 및 공공서비스 물가상승률이 하락세를 보이면서 주요국 수준을 크게 하회했으며 올해 들어 개인서비스 물가도 오름세가 다소 둔화했다.
박종석 한은 부총재보는 "2012~2015년에는 글로벌 요인이 컸지만 지금은 국내요인이 어느 정도 작용을 하고 있다"며 "수요압력 약화가 근원물가를 낮추는 요인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안선영 기자 asy728@ajunews.com
안선영 asy728@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