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 위원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 금융위 대회의실에서 열린 ‘시중·지방은행장 간담회’에서 “은행들이 제한된 국내 시장에서 생산적 경쟁이 아닌 소모적 경쟁을 펼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은 위원장과 은행장들과의 간담회는 취임 후 처음이다.
은 위원장은 은행권에 ‘생산적 경쟁’을 주문했다. 은 위원장은 동일한 상품과 서비스, 지방 금고 확보를 위한 경쟁을 대표적인 소모적 경쟁으로 지목했다. 은 위원장은 “은행은 금융소비자 보호와 포용적 금융 확대에도 더욱 힘써야 한다”며 “DLF 사태를 변화와 도약을 위한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
은성수 금융위원장(맨왼쪽)이 12일 시중은행, 지방은행장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금융위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은 위원장은 또 담보, 보증 위주의 대출, 이자수익 중심의 영업에서 벗어나 생산적금융을 확대해 줄 것을 당부했다. 그는 “기업들이 ‘은행은 우리가 갖고 있는 것보다 없는 것을 원한다’고 말한다”며 “기술금융, 동산담보대출 등 새로운 여신심사시스템을 고도화해달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은행은 최근 기술·동산금융의 비중을 확대하고 있지만, 여전히 이자수익 중심의 전통적 영업방식을 고수하고 있다”며 “혁신·창업기업의 성장성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도록 여신심사 모델을 고도화하고, 창업·벤처 기업 등 생산적 분야로 자금을 공급할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이날 은행장들과의 간담회 직후 DLF 종합대책의 확정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금융위는 지난달 14일 DLF 종합대책을 발표한 후 은행 등 금융권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왔다.
임아영 기자 layknt@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신문 최신기사
▶ 기사 제보하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