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드론으로 바라보는 세상

대우건설 "국내 건설사 최초 원격 드론관제시스템 구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대우건설 기술연구원에서 드론관제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사진 = 대우건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우건설은 국내 건설사 최초로 건설 산업용 원격 드론관제시스템(DW-CDS)을 구축하는데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대우드론관제시스템 'DW-CDS(Daewoo Construction Drone Surveillance)'는 전용 어플리케이션과 프로그램을 통해 관제센터에서 종합관제와 드론원격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4G·5G 통신망을 이용해 자체 개발한 영상관제플랫폼(CDS.Live)으로 영상을 전송해 최대 256개의 현장을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중앙 관제소 성격의 원격지에서 각 현장 드론의 자동비행을 지원하고 원격 제어해 드론의 비행과 비행정보를 관리하고, 촬영된 영상을 즉시 전송·저장해 권한을 가진 임직원은 누구나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현장의 드론담당자는 드론 전문가의 지원을 받아 DW-CDS를 통한 드론자동비행을 수행해 정기적인 비행으로 건설현장의 정보를 확인하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대우건설은 드론관제시스템(DW-CDS)을 통해 건설현장의 공사 진행 현황과 안전위험요소를 원격지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축했으며, 특히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시설물의 안전점검, 건설자재, 안전 시설물 확인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또한 이 시스템은 드론의 모든 비행정보 이력을 기록, 관리하는 블랙박스 역할을 해 위험상황발생시 원인규명에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대우드론관제시스템은 건설분야의 공정분석, 안전, 환경점검, 재해보상 등에 활용될 것이며, 건설산업 외에도 재난, 소방, 인명수색, 교통관제, 무인교통관리시스템(UTM, Unmanned Traffic Management)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우건설은 2016년부터 드론전문가를 사내 배치해 현장에 드론측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2018년에는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무인비행기(V-TOL)을 도입해 이착륙 공간의 제약을 극복했다. V-TOL을 이용해 한 번의 비행으로 대형 부지를 신속하게 측량하고 3D 모델링해 분석할 수 있게 돼 프로젝트 수행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이밖에도 수년전부터 드론레이싱부분의 기술지원을 해왔고, 자체 시스템을 통해 드론레이싱대회를 생중계하기도 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현재 드론관제시스템(DW-CDS)은 대우건설의 9개의 국내현장, 2개의 해외현장에 시범적용 중이며, 2020년까지 전 현장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라며 "관제센터에서 현장의 모든 드론들을 제어하고 통합 관제함으로써 원격 관리 시대의 새로운 장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