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충북도, 평산신씨 종가 고문서 등 20건 '도 문화재' 지정 예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청주=뉴시스】평산 신씨 종가 고문서. 왼쪽부터 1695년(숙종 21) 신완 녹패, 1616년(광해군 8) 신준 고신. (사진=한국교통대학교 박물관 제공) 2019.11.10. phot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청주=뉴시스】천영준 기자 = 충북도는 10일 조선시대 평산 신씨 종가 고문서 등 20건을 도(道)지정 문화재로 지정 예고했다고 밝혔다.

평산 신씨 종가 고문서는 1616년부터 1704년까지 신립(1546~1592년)의 아들 신경진, 손자 신준, 현손 신완에게 발급된 문서다.

고문서를 보면 평산 신씨 집안의 가계와 인물, 관직 생활, 녹봉 등 17~18세기 유력 가문의 전모를 확인할 수 있다.

한국교통대학교 박물관에 교서와 고신, 유서, 비답, 녹패 등 30점이 보관돼 있다.

청주고인쇄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대전화상주심경'도 도지정 문화재로 지정 예고됐다. 당나라 고승인 대전화상 요통(732~824년)이 '반야심경'에 주를 붙인 것이다.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해'라고도 불린다. 표지의 제목은 '원돈문'(圓頓文)이다.

서문은 대전화상이 짓고, 원나라 문인인 위소(危素)가 예서로 썼다. 1360년 이후 간행된 판본으로 희소성과 불교사, 서예사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 박물관에 보관 중인 '몽산화상육도보설'도 도지정 문화재에 포함됐다. 원나라 고승인 몽산화상 덕이(蒙山和尙 德異)가 중생에게 범부의 자시를 벗어나 성인의 지위에 들어갈 것을 권하는 불서다.

몽산화상의 불교 사상은 고려 선종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조선을 거쳐 지금까지 한국 선종의 중요한 흐름을 형성했다.

책은 1497년 전라도 진안에 있는 현암(懸庵)에서 다시 새겨진 목판본이다.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6행 13자본 중 가장 빠른 판본에 속한다.

이와 함께 황벽산단제선사전심법요, 불설사십이장경, 동국여지승람 권52, 지장보살본원경 권하 등이 도지정 문화재로 지정 예고됐다.

이들 문화재의 지정 예고 기간은 다음 달 8일까지다. 도지정 문화재 지정 여부는 '충북도 문화재 보호 조례 시행규칙'에 따라 예고가 끝난 날부터 6개월 이내 결정해야 한다.

yjc@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