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국내 첫 식물분야 최고권위 컨퍼런스 경주에서 개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포스텍(포항공대)이 콜드스프링하버 아시아(CSHA)가 주최하는 ‘CSHA 2019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4일 포스텍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열리는 ‘CSHA 2019 컨퍼런스’는 경주시와 한국관광공사의 후원으로 3일부터 7일까지 경주 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열린다.

‘식물 세포와 발달 생물학’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행사에는 국내외 전문가 150여명이 참석, 열띤 토론을 펼칠 예정이다.

컨퍼런스 기간에는 ‘배아생식의 세포신호’, ‘혈관조영술 발달에 있어서 세포 신호’ 등 7개의 연구주제에 대해 세계 30여개 대학·연구소의 식물연구 분야 연구들이 각자의 특별한 연구내용을 소개한다. 특히 포스텍 황인환 융합생명공학부 교수는 기조연설로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분석을 통해 식물 세포 내 특정 단백질들이 세포 내 소기관인 엽록체로 이동하는 표적 메커니즘’에 대해 발표할 계획이다.

이번 컨퍼런스를 한국에 유치한 황일두 교수는 “최고권위의 CSHA 컨퍼런스를 유치하는 등 우리나라의 식물학 분야의 위상이 높아진 만큼, 앞으로 해외 우수한 대학·연구소와 국제 공동연구와 협력을 확대해 나아갈 예정”이라며 “2020년 이후 대규모 컨퍼런스를 적극적으로 유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주화백컨벤션뷰로 박영호 사장은 “이번 행사가 경주에서 개최됨과 더불어 2022년 국제 식물생장물질 학술대회도 경주에서 개최될 예정”이라며 “식물 분야의 최고 권위자들께 경주를 소개할 수 있어 매우 기쁘게 생각하고 계속해서 식물과 관련된 여러 국제학술행사가 경주에서 개최될 수 있도록 마이스(MICE) 인프라와 서비스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콜드스프링하버 아시아’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과학교류를 위한 국제허브연구소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미국 콜드스프링하버연구소(CSHL)의 세계 최고의 과학자 그룹을 대상으로 특별한 주제로 토론하는 독특한 국제적인 회의형식을 모델로 아시아 과학회의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있다.

포항=장영태 기자 3678jyt@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