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0 (목)

이슈 주목 받는 아세안

'아세안 홀대' 트럼프, 美서 특별 정상회의 개최 초대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로버트 오브라이언 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보좌관(왼쪽)과 쁘라윳 짠오차 태국 총리가 4일 태국 방콕에서 열린 미-아세안 정상회의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백종민 선임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아세안 홀대론을 불식시키기 위해 내년초 미국에서 미-아세안 특별 정상회담을 하자는 깜짝 제의를 했다.


로버트 오브라이언 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은 4일 아세안+3 정상회의가 열리는 방콕에서 아세안과 미국간 정상회담에서 아세안 10개국 정상들에게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에서 특별 정상회의를 열겠다는 내용을 담은 서한을 대독했다.


오브라이언 보좌관은 트럼프 대통령을 대신해 올해 아세안 정상회의에 참석했다. 미국과 아세안 10개국 간 정상회담은 이번 정상회의를 계기로 이뤄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제안은 예상에 없던 내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 3년 연속, '아세안+3(한중일)'에 2년 연속으로 각각 불참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는 아세안 경시 외교라는 비판의 대상이 됐다.


올해는 트럼프 대통령 대신 오브라이언 보좌관이 정상회담에 '대타'로 참석하자 아세안 10개국 중 7개국이 이날 미-아세안 정상회담에 외무장관을 내냈다. 이날 미-아세안 정상회의에 정상이 참석한 국가는 태국과 베트남, 라오스 뿐이었다. 그나마 미국은 지난해에는 마이크 펜스 부통령이 대표로 왔지만 올해는 NSC 보좌관으로 격이 재차 하락하며 아세안 국가들의 실망을 불러왔다.


AP통신은 "미-아세안 정상회담은 대통령이나 총리가 참석하는 것이 관례"라며 "아세안 회원국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처사에 대항해) 외교적 관례를 엄격히 적용했다"고 지적했다.



백종민 선임기자 cinqang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