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사용후 핵연료’ 포화인데… 월성원전 대책수립 ‘지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6월 저장률 96%… 주민들 불안 / 원안위 등 증설 계획 결론 못내

세계일보

경북 경주시 양남면 나아리 월성원전에서 임시 보관 중인 ‘사용한 핵연료’가 포화상태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방사성폐기물 가운데 고준위 핵폐기물이 원전 내 포화상태를 보이자 원전 인근 주민들은 물론 원전 종사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24일 월성원자력본부에 따르면 월성본부 내 중수로 원전의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 저장률은 올해 6월 기준으로 96.04%를 보이고 있다.

건식저장시설은 구조에 따라 캐니스터와 맥스터로 나뉜다. 캐니스터는 이미 100% 찼고 맥스터는 92.2% 찼다. 맥스터는 2021년 11월 포화될 전망이다.

월성원자력본부는 운영을 중단한 월성원전 1호기를 제외하고 월성원전 2∼4호기를 계속 운영하려면 사용후핵연료가 포화하기 전에 저장시설을 확충해야 한다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월성본부는 맥스터 착공에 필요한 조건을 갖추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부는 사용후핵연료 처리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올해 5월 말 정부 추천 전문가들로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 재검토위원회’를 구성했다. 그러나 경주지역실행기구에 참여한 위원을 둘러싸고 경주에서 대표성 논란이 일고 있다.

이와 별도로 원자력안전위원회는 맥스터 증설과 관련해 제출한 운영변경허가 신청에 따라 안전성평가 심사를 하면서 아직 결론을 내리지 않고 있다.

월성원자력본부는 2016년 4월 원안위에 운영변경 인허가를 신청했고 안전성평가질문에 대한 답변과 방사선환경영향평가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출한 상태다. 마지막으로 경주시의 공작물 축조신고 통과는 정부정책 확정과 원안위 운영변경허가가 있어야 가능하다.

월성원전 인근 주민들은 “정부가 하루속히 원전 내 임시보관 중인 사용후핵연료(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리에 대한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데도 아직도 공론화가 겉돌고 있어 불안하기만 하다”고 주장했다. 월성원자력본부 관계자는 “정부와 원안위 등에서 맥스터 증설을 위한 결론을 신속하게 내려 주길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경주=장영태 기자 3678jyt@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