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서울시 미취업 10만명에 청년수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구직·주거 불평등 해소 대책

서울시가 내년부터 3년간 청년 10만명에게 청년수당을 지급한다. 기본 요건을 충족하는 청년에게 매월 50만원씩 6개월간 지원한다. 높은 주거비로 고통받는 청년 1인 가구에 월 20만원씩 최대 10개월간 주는 ‘청년월세지원’도 실시한다. 3년간 총 4만5000명이 대상이다.

서울시는 이를 통해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눈물 흘리는 청년들에게 공정한 출발선을 보장하겠다고 23일 발표했다. 그러나 청년수당의 효과에 대한 면밀한 검토 없이 수천억원이 드는 ‘현금 복지’를 늘려 논란이 예상된다.

서울시는 청년수당과 월세 지원에 3년간 총 4300억원을 지원한다. 청년 문제의 양대 이슈인 구직·주거에서 불평등한 출발선을 해소하겠다는 목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날 기자설명회에서 “수많은 청년이 취직 준비, 비싼 월세를 감당하느라 벅차하고 있고 사회로 출발하는 것마저 힘들어하는 현실”이라며 “청년에게 공정한 출발선을 보장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를 과감하게 단행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우선 청년수당 대상을 2020년부터 3년간 10만명으로 대폭 확대한다. 내년에는 1008억원을 투입해 3만명, 2021·22년에는 3만5000명씩 지원한다. 현재는 연 6500명에게 월 50만원씩 6개월간 지급하고 있다. 서울시는 10만명에게 지급할 경우 기본 요건을 충족하는 청년 누구나 신청만 하면 수당을 받을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청년수당은 서울 거주 중위소득 150% 미만으로 만 19∼34세 청년 중 졸업 후 2년이 지난 미취업자가 대상이다.

청년 1인 가구에 월세 20만원을 최대 10개월 동안 지원하는 정책도 새로 시작한다. 내년 5000명을 시작으로 2021·22년 연간 2만명씩, 3년간 총 4만5000명을 지원한다. 대상자는 만 19∼39세 중위소득 120% 이하 청년 1인 가구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의 만 20∼39세 청년 1인 가구는 58만 가구이며, 이 중 63.7%는 월세로 살고 있다. 시는 또 만 19∼39세 청년을 대상으로 한 임차보증금 대출과 이자 지원 기준을 내년부터 완화한다. 연 소득 조건은 3000만원에서 4000만원으로 올리고, 보증금 대출 규모는 2500만원에서 7000만원까지 올린다. 1000명을 지원하는 것이 목표다.

아울러 다양한 세대가 참여하는 ‘청년 불평등 완화 범사회적 대화기구’를 12월부터 가동한다. 격월로 포럼, 토론회, 세미나 등을 열고 공정 채용·소득 불평등 등을 논의한다.

시는 내년 청년수당 예산 1008억원과 청년주거비지원 예산 104억원 등 총 1112억원을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기타 청년지원사업을 모두 합하면 내년 청년예산은 역대 최대 규모인 약 5000억원이다.

청년수당 정책은 ‘현금 복지’를 늘린다는 점에서 포퓰리즘 논란이 예상된다. 그러나 박 시장은 “(이 정책은) 포퓰리즘이 아니라 리얼리즘”이라고 강조했다.

청년수당의 경우 효과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부족한 상황이다. 서울시는 그간 수당 참여자들의 취·창업률을 성과로 내세웠다. 시가 지난해 참여자 3151명을 추적 조사한 결과 47.1%가 취·창업, 창작활동을 통해 ‘자기 일을 찾았다’고 답했다. 그러나 수당을 받지 않은 청년들의 취업 성공률과 비교 수치가 없어 수당의 효과를 측정하기에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시는 내년 초 대조군과의 비교 분석 결과를 내놓을 예정이다.

구직활동 지원이라는 취지와 달리 그간 일부 수급자들이 노래방, 영화관 등에서 수당을 유흥비로 쓴 사실이 알려지면서 부실한 관리 문제도 지적됐다. 박 시장은 “서울시는 청년을 믿는다”며 “청년들이 (수당으로) 단란주점, 모텔에 갔다는 비난도 있었으나 확인해보니 그런 일이 거의 없었다”고 전했다.

5000억원을 투입하는 데 따른 재정 부담에 대해 박 시장은 “제가 취임한 지난 8년 동안 서울시가 7조5000억원 정도의 채무를 감축했다”며 문제 없다고 말했다.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