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말글살이] 언어학자는 빠져! / 김진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김진해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정권은 바뀌어도 정책은 안 바뀐다. 중앙집권적 권력구조에 관료주의로 똘똘 뭉친 국가권력은 구습을 못 버린다. 여전히 국민은 계도의 대상, 어르고 달랠 민원인. 언어정책도 마찬가지다. 공공언어 정책은 개념부터 계몽적이다.

지난 칼럼에 썼듯이 국가는 공공언어를 ‘공무원들이 생산하는 언어’로 한정하여 공공성을 왜곡하고 언어정책을 쪼그라뜨렸다. 개념을 축소하니 할 일은 명쾌하다. 행정용어를 순화하고 누가 보도자료를 더 쉽게 썼는지 순위를 매기는 일에 집중하면 된다. 행정언어 이외의 말은 관심 밖이다. 말하는 주체의 다양성, 말하는 공간의 복잡성에 신경 쓸 필요가 없다.

물론 공무원 언어의 ‘질’을 높이는 일은 중요하다. 하지만 그것은 필요하긴 해도 충분하진 않다. 공공 영역은 개인 담화를 넘어선 뭔가 더 높은 차원의 사회적 담론을 생산하는 곳이다. 공공언어는 다양하고 입체적인 사회적 관계 자체에서 벌어지는 언어적 소란이다. 공공언어 정책은 말의 통제나 단속에 있지 않다. 도리어 공공 영역에서 벌어지는 언어적 소란이 적정한 합의에 이르도록 말문을 터주고 사회적 격차에 따른 말의 격차를 좁혀주는 역할을 찾는 일이다. 이를 위해 모든 개인이 공공 영역에서 자신을 잘 표현할 줄 알고 기존 언어를 비판하고 새로운 언어를 발명해내는 ‘진짜 문해력’을 어떻게 기르게 할지를 고민해야 한다.

그러려면 엄격한 감시자가 아니라 유연한 촉진자가 필요하다. 누가 좋을까? 나를 포함한 언어학자들은 지나치게 완고하고 말 자체에 매몰되어 있다. 한 5년 정도 언어학자들은 뒤로 빠져 있으면 안 될까?

▶동영상 뉴스 ‘영상+’
▶한겨레 정기구독▶[생방송] 한겨레 라이브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