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16일 열린 '광장:미술과 사회 1900-2019(광장전)' 간담회에서 이와 같은 당부를 남겼다. '광장전'은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과 국립현대미술관의 개관 50주년을 맞아 기획한 대규모 전시다. 혼란스러운 한국의 근현대 역사에서 함께한 한국미술을 작품으로 보여주는 자리다.
|
덕수궁관 전시를 기획한 임근혜 국립현대미술관 전시2팀장은 "말로만 듣고 교과서에서만 보던 작품을 볼 수 있는 기회다. 당연히 알아야하는 예술가를 재확인하는 기회"라고 소개했다.
2부는 과천관에서 열린다. 1950년대부터 현재를 통사적으로 바라본다. 특히 민주화의 증인으로서 '광장'을 재현한 작품과 사료를 전시해 눈길을 끈다. 과천관에서는 최인훈의 소설 <광장>(1961)에서 빌려온 '검은, 해' '한길' '회색동굴' '시린 불꽃' '푸른 사막' '가뭄 빛 바다' '하얀새' 등 총 7개의 주제로 구성된다. 김환기의 대표작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1970)와 작품에 영감을 준 달항아리와 청자매병을 한자리에 선보인다. 또 동백림사건으로 수감된 윤이상, 이응노가 각각 옥중에서 작곡한 '이마주(image)'(1968) 육필 악보와 그림 '구성'(1968)이 함께 전시된다.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1980년대 오윤의 걸개그림 3점도 최초로 공개된다.
|
3부는 '동시대 광장'으로 주목받는 미술관과 최근 이슈에 집중한 작품을 소개한다. 오형근, 송성진, 함양아, 홍승혜, 에릭 보들레르, 날리니 말라니 등 작가 12명의 작품 23점을 선보인다. 동시대 젊은 세대의 모습을 담은 오형근의 초상 사진 신작 7점과 알레고리를 통해 복잡한 현대 사회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조망하는 함양아의 신작 영상 '정의되지 않은 파노라마 1.0'(2019), '주림'(2019)이 최초 공개된다.
|
이어 "이번 전시는 미술관에 대한 홍보도 없고 역대 관장의 인터뷰도 없다. 역사 속 미술관의 모습은 작품에서 보여준다. 1986년 곽덕준의 퍼포먼스 등이 이에 속한다. 또 작품에서 본 과거 오비맥주와 통닭, 이한열 역사의 운동화 등 미술관이 나아가야 할 비전은 역사와 함께한 작품에서 느낄 수 있다"고 설명했다.
|
강수정 과장은 이번 전시가 미술관이 한국 미술에 대한 연구를 총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 전시라고 했다. 그는 "한국미술전개시리즈를 매년, 매체별, 시대별 양식으로 차분하게 정리해왔다. 그중 현대미술작가시리즈의 영향이 이번 전시에 직결된 부분이 있다. 저 개인적으로 이 '광장전' 기획을 언제부터 시작했느냐고 물으면 '전환과 역동의 시대전-실험미술'이다. 또 2005년쯤 '한국미술 100년' 1부와 2부로 묶어 보여준 바 있다. '광장전'은 그 때 다루지 않은 것과 동시대적인 것을 재현하고 해석하는 작업에도 신경을 썼다"고 설명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1969년 10월 20일 개관한 국내 유일의 국립미술관이다. 지난해 12월에는 청주관이 문을 열면서 4관 체제의 아시아 최대 규모 미술관으로 거듭났다. 커진 규모만큼 미술관의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국립현대미술관에 대해 한 미술 관계자는 커진 규모에 비해 실질적 성과는 적어 아쉽다고 비판했다.
|
이어 "물론 세계화와 한국 미술 발전을 위해 미술관은 노력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해왔겠지만 본격적으로 패러다임 시프트가 이뤄지는 상황에서 미술관은 어떤 대응을 해왔는지가 잘 보이지 않는다"고 안타까워했다.
이 관계자는 무엇보다 국립현대미술관이 미술 연구에 노력을 기울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연구 없이 한 전시는 의미가 없다. 연구를 한 전시는 그 자체로 스펙터클하고 멋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관은 9월 7일~2020년 2월 9일, 덕수궁과 과천은 지난 17일 동시 개막해 2020년 2월 9일과 3월 29일까지 전시를 이어간다. 오는 20일에는 국민과 함께 50돌의 기쁨을 나누기 위해 덕수궁, 과천, 서울 3관을 무료 개방한다(청주관은 상시 무료).
89hklee@newspim.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