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젖소·흑염소 가축개량 지원해
고급육 생산 등 농가 소득증대 힘써
축사에 ICT 접목 온도·질병관리도
농진청과 지능형 기술개발도 진행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투데이 조상은 기자(세종) = 국경 없는 글로벌 무역경쟁 시대에서 자유무역협정(FTA)은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은지 오래다.
한국은 2004년 칠레를 시작으로 올해 10월 기준 15개국과 FTA를 체결했다.
이런 가운데 농업경쟁력을 무기로 FTA를 극복하고 새 역사를 쓰고 있는 농림축산식품부의 정책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가축개량지원 사업과 스마트축사가 대표적이다.
농식품부는 FTA 본격 체결 이후 가축개량을 통해 축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15일 “FTA 확대 등 대외변화에 대응해 종축의 생산성 향상, 품질 고급화로 농가소득 증대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종축의 혈통등록, 능력검정, 유전능력평가, 선발 및 계획교배의 반복과정을 거쳐 얻은 우수한 종축을 농가가 저렴한 가격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올해 축종별 총 524억원의 예산을 확보하고 한우·젖소 씨수소개량사업, 한우육종농가사업, 우량암소수정란이식지원사업, 돼지개량네트워크구축사업, 우수여왕벌 육종보급, 흑염소 개량지원 등 가축개량사업을 추진 중이다.
농식품부의 이 같은 지원은 현장의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매년 한우 도체중과 등심단면적이 각각 4.83kg, 0.51㎠ 증가했다.
이는 연 2029억원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젖소의 경우에도 305일 유량과 유지량·유단백량도 84.3kg, 3.9kg, 3.4kg 늘었다.
산유량 증가는 젖소 전체 농가의 소득증대로 이어졌다. 연간소득이 일반농가에 비해 3024억원 많다는 분석이다.
스마트축사 역시 농식품부가 심혈을 기울이는 사업 중 하나다.
스마트축사는 축사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융·복합해 축사의 환경과 가축을 원격·자동으로 관리해 노동력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농장이다.
돼지농장의 경우 스마트축사 도입 이후 사료비·노동비·질병발생 피해액이 각각 9.2%, 6.6%, 4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는 관계자는 “ICT를 접목한 스마트축사를 도입하면 축사의 온·습도, 악취 등을 자동조절할 수 있다”면서 “가축의 운동량·체온 등 생체 정보를 정확하게 측정해 질병 및 수태 적기도 파악, 적정량의 먹이와 음수를 자동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스마트폰을 통해 데이터를 실시간 확인 가능해 외부에서도 원격으로 축사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농식품부가 2014년부터 ‘축산분야 ICT 융복합 확산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특히 올해는 지난해(480억원)보다 160억원의 예산을 추가 확보해 640억원을 투자할 정도로 스마트축사 보급에 공을 들이고 있다.
현장에서 제기된 애로사항 해결과 지속가능한 축산업 구현을 위해 사업 지원체계도 개편했다.
사육규모와 관계없이 축산업 허가를 받은 농가 누구나 신청할 수 있도록 한 게 대표적이다. 사업 지원범위를 악취측정 및 저감장비까지 확대했다.
이를 통해 악취측정센서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농장주의 휴대폰으로 전송해 자동으로 악취를 저감하겠다는 게 농식품부의 복안이다.
또 ‘맞춤형 현장 컨설팅’을 진행해 사후관리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
2014년 처음 23호 보급 이후 매년 증가하고 있는 스마트축사를 2022년까지 5750호로 늘리겠다는 게 농식품부의 목표다.
향후 농식품부는 농진청과 별도로 운영해 온 연구개발(R&D)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해 지능형 기술 개발에도 나설 계획이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