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사외이사 ‘투잡’ 교수 가장 많은 곳은 서울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추가 연봉 4720만원… 15명은 1억 넘어

서울대 교수의 8% 가까이가 기업 사외이사를 겸직하며 평균 4720만원의 연봉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전국 11개 거점 국립대학과 서울 소재 6개 사립대학(서강대·성균관대·홍익대·건국대·중앙대·한국외대)으로부터 제출받은 ‘대학교수 사외이사 겸직 현황’ 자료에 따르면 서울대의 사외이사 겸직 교수는 총 169명으로 전체 전임교원의 7.5%를 차지했다. 이들이 받는 연봉은 평균 4720만원이었으며 15명은 1억원 이상을 받았다.

거점 국립대 교원 중 사외이사를 겸임하는 비율은 서울대에 이어 경북대(15명·1.14%), 강원대(9명·1.13%), 부산대(15명·1.12%), 인천대(5명·1.02%) 등의 순이었다. 전북대와 제주대의 사외이사 겸임 교수는 모두 무보수였다. 서울 소재 6개 사립대학은 전체 전임교원 대비 2~3% 내외의 교수들이 사외이사를 겸직하고 있었다.

교수의 기업 사외이사 겸직은 교수가 높은 연봉을 받고 기업 이사회의 ‘거수기’ 역할을 한다는 비판에 놓여 있다. 박 의원은 “대학과 교수들이 기업 사외이사 겸직 정보공개를 꺼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실의 자료 요청에 고려대와 연세대, 한양대, 경희대, 동국대, 이화여대는 개인정보 보호를 이유로 관련 정보를 비공개했다. 지난해 5월 교육공무원 임용령이 개정돼 사외이사를 겸직하는 교수는 보수 일체를 학교장에게 신고하게 됐지만, 대학과 교수가 이를 대외적으로 공개할 의무는 없다.

박 의원은 “대학 구성원과 국민은 교수들의 사외이사 겸직 현황에 대해 알권리가 있다”면서 “‘대학알리미’ 시스템에 매년 신고 현황을 공개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