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WT논평] Resistance in Hong Kong (2)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One country, two systems” is the slogan, though it’s come under increasing strain over the past decade. Democracy in Hong Kong may be withering away as Beijing tightens its grip, but it’s not dead yet.

June 4, 2019, the 30th anniversary of the Tiananmen Square massacre passed quietly in the People’s Republic. Not only are memories of the massacre suppressed, but public protests are banned, and can be punished harshly.

Hong Kong, the pebble in the shoe, is different. Not only was the anniversary marked, as it is every year, with a candlelight vigil, this week the streets have been thronged with protest of a proposed law that would enable Beijing to extradite criminal suspects from Hong Kong to be tried in mainland China, where the courts seem to be administered by kangaroos.

Hong Kong saw the largest protest of China’s authority since Britain ceded control in 1997. Organizers estimated more than a million people demanded that Beijing shelve the law.

“A snaking crowd that included young families, students, professionals and the elderly streamed through the city, reflecting unprecedented and widespread opposition to the latest move by Beijing to bring the former colony to heel,” The Wall Street Journal observed. “Critics say the proposed law could be abused to target political dissidents and would expose citizens to the mainland’s more opaque legal system, where detainees could be unfairly jailed and abused.”

The proposed law would be, as many in Hong Kong argue, the final blow to “one country, two systems,” and begin in earnest the merging of Hong Kong’s free, open, accountable, and democratic system with Beijing’s Communist, corrupt, closed, and opaque dictatorship.

홍콩의 저항 (2)

‘일국양제’는 중국이 내건 구호이나 지난 10년 동안 점점 더 큰 압박을 받게 되었다. 베이징이 장악력을 강화함에 따라 홍콩의 민주주의는 약화되겠지만 아직은 죽지 않았다.

톈안먼광장 대학살 30주기인 2019년 6월4일은 인민공화국에서 조용히 지나갔다. 대학살의 기억을 숨길 뿐만 아니라 금지하고 있는 본토에서 대중의 항의시위는 가혹한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중국의 목에 걸린 가시인 홍콩은 다르다. 매년 그렇듯이 촛불시위로 기념일을 지켰을 뿐만 아니라 베이징이 홍콩의 범죄 용의자를 인민재판이 행해지는 것으로 보이는 중국 본토로 인도하여 재판을 받을 수 있게 하는 법률안 제출에 항의하는 군중이 홍콩의 거리거리를 가득 메웠다.

영국이 1997년에 통치권을 이양한 이후 중국 당국에 대한 최대의 항의사태가 홍콩에서 벌어졌다. 시위를 조직한 사람들은 베이징의 법안 보류를 요구한 시위대가 100만명을 넘은 것으로 추산했다.

“젊은 가족들과 대학생들 및 전문직업인들과 노인들이 포함된 군중이 장사진을 이룬 채 도시에서 행진을 벌였는데, 이는 과거 식민지였던 홍콩을 복종시키려는 베이징의 최근 조치에 대한 전례 없이 광범한 반대를 반영한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은 지적했다. “비판자들은 제안된 법안이 정치적인 반체제 인사들을 표적으로 삼는 데 악용될 수 있으며 홍콩 시민들을, 구금된 사람들이 불공정하게 수감되고 학대받는 본토의 훨씬 불투명한 사법체제에 노출시키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홍콩의 다수 사람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제안된 법안은 ‘일국양제’에 최후의 일격이 될 것이며 홍콩의 자유롭고 책임을 지며 개방된 민주적인 체제를 부패하고 폐쇄되어 불투명한 베이징의 공산주의자들에게 본격적으로 통합시키는 시발점이 될 것이다.

역주=오성환 외신전문위원 suhwo@segye.com

△wither away:약화되다 △throng:군중, 인파 △snake:구불구불 가다

△bring someone to heel:사람을 복종시키다

△in earnest:본격적으로 △cede:이양하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