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6 (목)

조선업 개편 천신만고 끝 첫발…결합심사, 노조달래기 등 남은 과제도 산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주총장까지 변경하며 물적분할 승인

- 공정위 기업결합 심사, 노조ㆍ지역 민심 달래기 과제

헤럴드경제

31일 오전 울산대 체육관에서 현대중공업 법인분할 주주총회가 열리고 있다. [현대중공업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인수합병(M&A)을 위한 첫 관문인 물적분할 승인을 통과했지만 향후 기업결합 심사 등 절차상의 문제 뿐 아니라 노조와 지역 민심 달래기에 나서야 하는 등 과제가 산적해 있다.

현대중공업은 31일 울산시 울산대학교 체육관에서 열린 임시 주주총회에서 ▷분할계획서 승인 ▷사내이사 선임 등 총 2개의 안건을 통과시켰다.

당초 이날 주총은 울산 한마음회관에서 진행할 계획이었으나 노조의 점거로 긴급히 장소를 변경하며 진행됐다.

특히 분할계획서 승인의 건은 총 주식수의 72.2%인 5107만4006주가 참석, 참석 주식수의 99.9%인 5101만3145주가 찬성하며 가결됐다.

분할계획서가 승인됨에 따라 현대중공업은 중간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과 사업회사인 ‘현대중공업’의 2개 회사로 새롭게 출발한다.

향후 한국조선해양은 자회사 지원 및 투자, 미래기술 R&D 등을 수행하는 기술중심 회사의 역할을 수행하며, 현대중공업은 조선과 해양플랜트, 엔진기계 등 각 사업부문의 전문화를 통해 핵심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날 주총에서 물적분할 승인 건이 통과됐지만 인수 절차 과정상의 숙제는 산적해 있다.

앞서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은 지난 3월 중순 상호실사에 착수했다. 현대중공업은 대우조선 재무상태를 비롯한 전반적인 자료를 살피고, 산업은행은 현대중공업과 삼호중공업, 현대미포조선 등 자회사를 실사하고 있다.

실사와 별개로 현대중공업은 공정거래위원회에 기업결합 심사를 신청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현대중공업 측은 회계법인과 로펌 등 자문사와 협조해 기업결합심사 국가를 선별해 유럽연합(EU)과 일본, 중국 등 해외 국가들의 심사를 준비하고 있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인수합병 양측의 실사가 마무리되고 공정위 결합신고가 돼야 거래 종결 조건이 충족되는 만큼 최대한 빨리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헤럴드경제

31일 오전 현대중공업 주주총회가 열린 울산대학교 체육관의 벽면이 심하게 파손돼 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최종적인 인수 완료까지 가는 과정이 연말을 넘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당장 EU와 일본 등 이해관계국들의 통상 마찰이 예상된다.

국내외 기업결합심사를 통과하면 산업은행은 보유 중인 대우조선해양 지분 전량을 출자하고 대신 한국조선해양의 주식을 취득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한국조선해양은 현대중공업을 비롯해 대우조선해양,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등의 조선 계열사를 자회사로 두게 된다.

아울러 노조의 강경한 입장은 더 세질 가능성이 농후하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노동자들의 근로조건 악화가 우려된다는 입장이고, 대우조선 노조 역시 독과점 문제가 명백한 두 회사의 기업결합을 불허하라며 공정위에 촉구하고 있는 상태다. 이에 따라 현대중공업은 인수 절차를 진행하는 한편, 노조와 지역 민심 달래기에도 나서야 하는 상황이다.

노조의 고용 불안에 대해서는 이미 한영석ㆍ가삼현 현대중공업 대표이사가 지난 21일 담화문을 내고 단체협약 승계를 보장하고 고용 안정을 약속한다며 노조에 협력을 촉구한 바 있다.

이와 함께 노조와 지자체는 물적분할의 존속법인인 한국조선해양(중간지주회사)의 본사를 법인세와 지역 균형 발전 등을 이유로 울산에 두기를 원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이에 대한 설득 작업도 진행해야 한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노사 간 신뢰구축에 전력을 기울여 빠른 시일 내에 회사의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고용 안정, 단협 승계 등 임직원과 약속한 부분들에 대해서도 이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 “지역사회에도 물적분할 과정에서 빚어진 일부의 오해가 불식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울산을 대표하는 기업의 위상을 회복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thlee@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