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조선업 불황 울산…소상공인 '백년가게' 선정 난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지훈 기자] [전국 12개 지방 중기청 가운데 유일하게 백년가게 평가위 불발 ]

머니투데이

조선업 불황으로 경기침체를 겪고 있는 울산 지역의 '백년가게' 선정 작업이 무산됐다. 업력 30년 이상에 장기적 성장 가능성을 갖춰야 하는 선정 기준에 부합한 소상인·소기업을 찾는 게 유독 어려워서다.

8일 중소기업계에 따르면 전국 12개 지방 중기청 가운데 울산 중기청을 제외한 11곳이 지난달 말부터 이달 초까지 백년가게 선정 관련 평가위원회 심사를 마무리했다.

하지만 울산 중기청은 상정 기준에 부합한 신청자가 없어 평가위를 아예 열지 않았다. 울산은 해당 제도 시행 첫해인 지난해 선정된 81곳의 백년가게들 가운데 불과 1곳(언양한우불고기)을 배출한 바 있다.

울산은 1970년대 급속한 산업화 전까지 작은 어촌마을에 불과했다. 이에 업력이 오래된 업체를 기본적으로 찾기 어려운 실정으로 알려졌다.

백년가게는 도소매・음식업종에서 30년 이상 사업을 운영해오고 있는 소기업 (3년 평균 매출액 기준 도소매 50억원·음식 10억원 이하) 및 소상인(상시 근로자 5인 미만·매출 기준은 소기업과 같음)을 대상으로 경영자 전문성 등 평가를 거쳐 선정된다. 백년가게에 선정되면 마케팅·정책자금 금리 우대 등 각종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중기부 관계자는 "자격 요건이 맞지 않거나 아직 일반에 제도가 널리 알려지지 않은 것이 원인일 수 있다"며 "조선업 불황 여파로 인한 폐업 등으로 신청을 못하는 상황도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울산에 대한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 시한을 기존보다 2년 연장한 오는 2021년 5월까지로 지정한다는 결정을 내리기도 했다.

백년가게 선정 절차는 올해부터 기존 전국 단위 평가에서 지역 단위 평가로 전환되면서 지방 중기청들이 주관하고 있다. 중기부는 단순히 신청을 받는 것에만 의존하지 않고 지속적인 발굴 작업을 병행한다는 방침이다.

김지훈 기자 lhshy@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