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끝나지 않은 신분제의 유습 '갑질'

아시아나항공, 예약 수수료 아끼려 여행사에 ‘갑질’하다 적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공정위, 행위금지 및 통지 명령…과징금 4000만원 부과

이데일리

[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아시아나항공(020560)이 예약 수수료를 아끼려고 여행사에 특정 예약 시스템(GDS)만 이용하도록 ‘갑질’ 하다가 당국에 적발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아시아나항공이 2015년 6월15일부터 공정위가 관련 조사에 들어간 10월1일까지 약 3개월 동안 여행사들에 애바카스(현 세이버)란 항공권 예약·발권 시스템만 이용하도록 강제한 사실을 적발해 행위금지 및 통지 명령과 함께 과징금 4000만원을 부과했다고 18일 밝혔다.

공정위 조사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은 이 기간 여행사들에 애바카스를 이용하지 않으면 패널티를 부과할 것이라고 경고하며 공정거래법 제23조제1항제4호 거래상지위남용행위 중 거래강제 행위를 했다는 게 공정위의 판단이다.

공정위는 아시아나항공이 수수료를 아끼기 위해 이 같은 불법행위를 한 것으로 봤다. 아시아나항공은 2009년 자사 항공권을 애바카스에서만 발권할 수 있는 독점 계약을 맺어 수수료 할인을 받아 왔다. 여행사가 애바카스를 더 많이 이용할수록 아시아나항공은 수수료를 아끼는 것이다.

아시나아항공은 그러나 이 과정에서 추가 수수료 부담이 생겼다. 여행사는 자신의 정책이 따라 아마데우스나 트래블포트 같은 다른 GDS를 자유롭게 이용했고 꼭 아시아나 항공권이 필요하더라도 예약은 다른 곳에서 하고 발권만 애바카스에서 하면 됐기 때문이다. GDS 수수료 구조상 아시아나항공은 이 때마다 ‘가예약수수료’를 추가 부담해야 했다.

공정위는 아시아나항공의 이 조치가 여행사들이 GDS를 자유롭게 선택할 자유를 빼앗을 뿐 아니라 각 GDS가 시행하는 각종 장려금 제도를 적절히 이용하지 못해 금전적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봤다. 장기적으로는 GDS 업체끼리의 공정 경쟁을 저해할 우려도 있었다.

아시아나항공은 이 같은 공정위의 시정명령을 현재 거래하고 있는 모든 여행사에게 서면으로 알려야 한다. 과징금은 위반 기간이 짧고 실제 패널티를 부과한 적은 없다는 걸 고려해 4000만원으로 정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항공사가 자신의 비용 절감을 위해 거래상 열위인 여행사들 선택권을 제한하고 불이익을 강제한 행위”이라며 “앞으로도 항공시장 불공정행위를 꾸준히 점검하고 위법행위를 엄중히 제재하겠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