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캄보디아 식물로 한국이 화장품 만들어…이익공유 첫 사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내일 협약식 체결…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이 야생식물 발굴

연합뉴스

국립생물자원관이 발굴한 '디프테로카푸스 인트리카투스'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서울=연합뉴스) 이영재 기자 = 정부의 지원으로 외국의 야생생물자원을 발굴하고 국내 기업이 이를 상품화해 이익을 그 국가와 공유하는 첫 사례가 나왔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오는 14일 서울 강남구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국내 화장품 기업 한솔생명과학과 캄보디아 농림수산부의 '이익공유 협약식'을 개최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한솔생명과학이 미백과 주름 개선 효능이 뛰어난 캄보디아 야생식물 '디프테로카푸스 인트리카투스'로 만든 화장품 판매로 발생하는 이익을 캄보디아 측과 공유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디프테로카푸스 인트리카투스는 2015년 12월 국립생물자원관이 캄보디아 원시림에서 발굴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이듬해 11월 한솔생명과학에 관련 기술을 이전해 화장품 개발을 지원했다. 화장품은 작년 12월 상용화를 완료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이번 협약은 국내 연구기관 및 제조사가 해외 야생생물자원을 합법적으로 발굴·분석해 산업화하고 이익을 자원 제공국과 공유하기로 한 최초 사례"라고 설명했다.

생물자원 활용에 따른 이익공유 지침을 담은 나고야 의정서가 채택된 2014년 이후 자원 제공국의 관련법 정비 등으로 외국 생물자원 활용 절차가 복잡해져 국내 기업은 외국 생물자원을 상품으로 개발하는 데 소극적인 실정이라는 게 환경부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환경부가 나서 자원 제공국의 복잡한 절차를 준수하며 외국 생물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국내 기업에 소개하고 있다. 기업 입장에서는 외국 생물자원 발굴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 셈이다.

한솔생명과학과 캄보디아 농림수산부의 협약식과 같은 날 환경부는 캄보디아 측과 생물자원협력 차관회담을 개최해 캄보디아 생물자원의 지속가능한 활용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박천규 환경부 차관은 "국내 1호 이익공유 계약이 체결되기까지 환경부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집중해왔다"며 "앞으로 국내 생명산업 기업이 해외 유용 생물 소재를 보다 쉽게 활용하고 이를 통해 경제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ljglory@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