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 굴 속 동면 중인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갯게. 겟개가 동면중인 모습이 포착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국립공원공단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갯게의 동면 모습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확인됐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지난달 중순 한려해상국립공원 남해도 해안가에서 해양생태계 조사 중 갯게의 동면 모습을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진은 내시경 카메라를 이용해 폐쇄된 겟개 서식굴의 형태, 서식굴 안의 온도를 측정하고, 동면을 취하는 갯게의 모습을 지난달 14일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에 확인된 갯게의 서식굴은 입구 너비 7~10㎝, 길이 100㎝, 지면으로부터 깊이는 약 30~50㎝이며, 입구부터 안쪽으로 불규칙하게 구부러진 형태로 되어 있다.
공단에 따르면 서식굴은 여름철에 안쪽까지 개방된 데 비해 겨울철에는 입구에서 약 10㎝ 깊이까지는 낙엽과 풀, 흙으로, 약 10~80㎝까지는 흙으로 덮여 있고, 제일 안쪽에 갯게가 동면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 굴 속 동면하는 모습이 처음으로 확인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갯게. 국립공원공단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식굴 외부 온도가 영하3도~영상10도로 변화될 때 갯게가 동면하는 공간은 5~6도로 유지된다. 이는 체온유지가 쉽지 않은 갯게가 급격한 온도변화로부터 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으로 파악된다는 게 공단 측의 설명이다. 이상규 국립공원공단 책임연구원은 “이번 조사에서 갯게의 겨울철 생존전략을 밝히고 서식지 복원을 위한 과학적인 자료와 영상자료를 취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서식굴 안쪽에 내시경 카메라의 조명을 비췄을 때 갯게는 약 5분 정도 천천히 움직이다가 이후에는 움직임이 활발해지는 것으로 보아 외부자극이나 상황에 스스로 반응할 수 있는 상태의 동면임이 확인됐다.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 굴 속 동면하는 모습이 처음으로 확인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갯게. 국립공원공단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겟개는 갯벌이 있는 조간대 상부의 돌무더기나 초지에 구멍을 파고 살거나 하구 근처 도랑, 습지에 구멍을 파고 살며 아주 드물게 발견된다. 세계적으로 1속 1종만이 있는 희귀종이다. 몸에는 전반적으로 보랏빛이 돌며 해안가나 하구 습지 등 환경변화에 민감한 지역에 서식하기 때문에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갑각의 길이(갑장)는 큰 것이 40㎜ 정도, 갑각의 너비(갑폭)는 더 넓어서 50㎜ 정도다. 갑각의 윤곽은 양 옆 가장자리가 볼록한 사각형이다. 이마는 짧은 혀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둥그스름하고, 아래쪽으로 매우 기울었다. 갑각의 옆 가장자리는 매우 볼록하고 눈뒷니를 포함하여 4개의 넓은 이가 있다. 갑각의 등면 앞부분과 뒷 옆부분이 매우 기울어서 볼록하고, 전면에 짧은 털로 덮였다. 집게다리는 크고 억세게 생겼는데 수컷의 집게다리는 암컷의 집게다리보다 훨씬 더 크다. 수컷의 손바닥은 매우 크며 왼쪽이 오른쪽보다 큰 경향이 있다.
하동준 국립공원공단 해양연구센터장은 “앞으로 갯게의 생태학적 연구와 서식지 환경에 대한 조사, 연구를 강화해 갯게의 개체군 보호와 복원사업 등에 적극 활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은경 기자 scoopkoh@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