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말빛 발견] 말모이/이경우 어문부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말모이’는 끝내지 못한 우리말 사전의 이름이다. 우리말에 우리 글자로 뜻풀이를 한 사전이다. 일제강점기인 1911년 시작된 최초의 우리말 사전이었다.

사전을 만들려면 우선 말을 모아야 했다. 편찬자들은 ‘말을 모으다’는 뜻으로 사전 이름을 ‘말모이’라고 했다. 주시경과 그의 제자들인 김두봉, 권덕규, 이규영이 ‘말모이’ 편찬에 함께한 이들이다. 그러나 원고가 거의 마무리되고 사전 출판을 앞둔 1914년 주시경이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난다. 김두봉은 상하이로 망명하게 되고, 이규영도 세상을 떠나면서 사전은 끝내 출판되지 못한다. ‘ㄱ’부터 ‘걀죽’까지 원고 일부만 남아 있다. 한자어 앞에는 ‘+’, 외래어 앞에는 ‘×’를 붙여 구분했다. ‘말모이’는 우리말 사전의 기틀이 됐고, 이후 조선어사전편찬회의 사전 편찬으로 이어진다. 조선어사전편찬회는 취지서에서 이런 말을 남겼다. “문화의 발전은 언어 및 문자의 합리적 정리와 통일을 말미암아 촉성되는 바이다.”

말들은 끊임없이 다듬어지고 정리돼야 한다. 사전은 단순한 말의 기록이 아니다. 사전의 말 속엔 미묘한 원칙들이 있고, 풍속이 있으며, 모든 것들과의 관계가 있다. 더 섬세한 사전이 필요해지는 시대다.

wlee@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