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이슈 '브렉시트' 영국의 EU 탈퇴

메이 "브렉시트 의회 승인투표 14∼15일 실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가 오는 14~15일(현지시간) 브렉시트 합의안에 대한 의회 승인투표를 예정대로 실시하겠다고 못 박았다.

메이 총리는 6일(현지시간) 영국 BBC 앤드루 마르쇼와의 인터뷰에서 의회 승인투표가 '확실하게' 예정된 1월 15일 무렵 치러지냐는 질문에 "그렇다. 우리는 투표를 진행할 것"이라고 답했다. 메이 총리는 지난해 11월 EU와 합의한 협상안을 마련해 지난달 11일 의회 승인투표를 하려 했지만, 합의안 부결이 확실시되자 이를 이달 셋째주로 연기한 바 있다.

메이 총리는 "내 협의안이 국가를 위한 '좋은 협상안'이라고 진심으로 믿는다"며 "만약 의원들이 합의안을 부결한다면 투표를 추가로 더 하는 것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의회 승인투표에서 합의안이 부결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지 묻자 메이 총리는 "영국이 '미지의 영역'에 들어가게 될 것이다. 아무도 무슨 일이 벌어질지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지난달에 비해 협상안이 달라진 점은 무엇이냐는 질문에 그는 세 가지 분야에서 세부적으로 조정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우선 합의안 중 가장 크게 우려되고 있는 북아일랜드 '안전장치'에 대해 구체적인 기준을 정할 예정이다. 또 EU로부터 안전장치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확실한 약속을 얻을 수 있도록 논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앞서 영국과 EU는 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 간 '하드 보더'(Hard Border·국경 통과 시 통행과 통관 절차를 엄격히 적용하는 것)를 피하기 위해 미래관계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영국 전체를 당분간 EU 관세동맹에 잔류하도록 하는 '안전장치' 방안을 브렉시트 합의안에 넣었다. 하지만 브렉시트 강경론자들은 '안전장치'가 일단 가동되면 영국이 일방적으로 협정을 종료할 수 없어 EU 관세동맹에 계속 잔류해야 하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합의안을 반대하고 있는 의원들이 향후 영국과 EU 간 협상에서 더 많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국회 역할을 강화하겠다는 약속도 했다. '노딜' 브렉시트만은 피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브렉시트 제2 국민투표 개최에 대해서는 다시 한번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메이 총리는 "(제2 국민투표는) 나라를 분열시킬 것"이라며 "실질적으로 (브렉시트가 예정된) 3월 29일 이전에 투표를 여는 것도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BBC는 유고브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2만5000명의 국민 중 불과 22%만이 메이 총리의 합의안을 지지한다고 보도했다. 절반을 넘는 53%가 제2 국민투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제2 국민투표를 원한다고 밝힌 사람들 중 54%는 영국이 EU에 남는 것을 선호한다고 답했다.

[김제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