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8 (금)

경찰, '악성코드 설치 유도' 보이스피싱 대국민 주의보 발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찰·금융기관 사칭해 접근

악성코드 깔리면? 확인 전화 걸어도 사기꾼이 받아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관주 기자] “정부 지원자금으로 저금리 대출 최대 3000만원까지 가능!” 지난달 28일 금융기관을 가장한 보이스피싱 일당의 접근에 혹한 A씨(경기도 안산)는 대출진행을 위한 ‘금융기관 앱’을 다운로드 받았다. 물론 보이스피싱 일당이 보낸 IP주소를 통해 내려받았다.

그 순간 A씨의 휴대전화는 악성코드에 감염됐다. 보이스피싱범이 대출금 상환 명목의 송금을 요구하자 의구심이 든 A씨는 은행 대표전화로 전화해 “신용평점 상승을 위한 절차이니 입금해도 된다”는 말을 들었다. 안심하고 300만원을 입금했지만 이미 돈은 사기범에게 넘어간 뒤였다. 악성코드로 인해 발신전화가 보이스피싱 일당에 탈취, 사기범에게 연락이 돌아간 것이다.

서울에서도 비슷한 사건이 발생했다. B씨는 “휴대전화 명의가 도용된 것 같다”는 경찰을 사칭한 사기꾼의 전화에 깜빡 속아 ‘원격제어 앱’을 다운로드 받았다. 보이스피싱범은 이를 통해 B씨의 휴대전화에 악성코드를 심은 뒤 자산보호를 이유로 예금을 송금할 것을 요구했다. 수상하게 여긴 B씨가 경찰과 금융기관에 확인 전화를 걸었지만, 이미 때는 늦었다. 악성코드로 인해 사기꾼에게 발신전화가 돌아갔고, 안심한 B씨는 사기꾼에게 돈을 송금했다. B씨를 속인 일당은 같은 수법으로 총 1억6900만원을 가로챘다.

경찰이 최근 빈번히 발생하는 ‘악성코드 설치 유도형’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해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18일 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1~11월 경찰에 접수된 보이스피싱 사건은 총 3만1018건, 피해금액은 3630억원에 달한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발생 건수가 43.6% 늘어난 수치다.

특히 최근에는 피해자의 휴대전화를 악성코드에 감염시켜 속이는 수법이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게 경찰의 설명이다. 피해자가 보이스피싱을 의심해 경찰·금융기관 등에 확인전화를 하는 것에 대비, 발신 전화가 보이스피싱범들 자신에게 수신되도록 하는 악성코드를 피해자가 설치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경찰은 수사기관·금융기관이라며 출처가 불분명한 앱을 설치토록 하거나 확인전화를 유도하는 경우 보이스피싱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평소 출처불명 앱 설치를 차단하도록 설정하고, 모르는 상대방이 알려주는 URL·IP주소 등에 접속하지 않아야 한다. 경찰청에서 제공하는 ‘폴-안티스파이’ 앱이나 백신 등을 통해 평소 악성코드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

경찰 관계자는 “악성코드 설치 유도 메시지를 받았다면 인터넷 보호나라에 접속, 피싱사고 메뉴를 통해 신고해줄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이관주 기자 leekj5@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