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유가 떨어지자…11월 수입물가, 3년10개월만에 최대폭 하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D램 수출물가, 4개월 연속 하락…정점 찍고 조정되는 듯

연합뉴스

휘발유가 1천3백원대
(서울=연합뉴스) 한상균 기자 = 9일 서울 시내 한 셀프주유소에서 휘발유를 1천376원에 판매하고 있다. 정부의 유류세 한시 인하 조치와 국제유가 하락으로 국내 휘발유 가격은 약 1년 2개월 만에 1천400원대로 떨어졌다. 8일 한국석유공사 유가 정보 서비스인 '오피넷'에 따르면 이달 첫째 주 전국 주유소에서 판매된 보통 휘발유 가격은 전주보다 ℓ당 평균 35.4원 내린 1천481.0원으로 집계됐다. 2018.12.9 xyz@yna.co.kr (끝)



(서울=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국제유가 하락 여파로 수입물가가 3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낙폭은 3년 10개월 만에 가장 컸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2018년 11월 수출입물가지수'를 보면 지난달 수입물가지수(2010=100)는 87.96으로 한 달 전보다 4.6% 하락했다.

수입물가가 떨어진 것은 8월(-0.2%) 이후 처음이며, 이번 낙폭은 2015년 1월(-7.5%) 이후 최대였다.

그간 수입물가 상승을 이끈 유가가 떨어지자 수입물가도 하락 전환했다.

지난달 월평균 두바이유는 배럴당 65.56달러로 한 달 전보다 17.4% 떨어졌다.

구체적으로 보면 원재료 수입물가가 9.1% 떨어졌고 석탄 및 석유제품 등의 하락으로 중간재 수입물가도 3.4% 떨어졌다.

자본재, 소비재 수입물가는 각각 0.5%, 0.6%씩 내렸다.

품목별로는 원유(-17.6%), 나프타(-23.2%), 벙커C유(-8.6%) 등에서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연합뉴스


수출물가지수는 86.10으로 2.3% 하락했다.

수출물가가 떨어지기는 지난 3월(-1.4%) 이후 처음이다. 하락 폭은 2016년 4월(-2.9%) 이후 가장 컸다.

국제유가 하락으로 석탄 및 석유제품, 화학제품 수출물가가 떨어진 데다 원/달러 환율도 한 달 전보다 0.2% 하락하면서다.

농림수산품 수출물가가 1.0% 떨어졌고 공산품은 2.4% 내렸다.

수출 품목별로는 경유(-15.3%), 휘발유(-22.0%), 제트유(-12.1%) 등에서 수출물가 낙폭이 컸다.

한국의 주력 수출 상품인 D램 수출물가는 지난달 2.0% 하락했다.

D램 수출물가는 8월부터 4개월째 내리막이다.

한은 관계자는 "그동안 D램 수요 때문에 가격이 상승했는데, 정점 수준에서 미세 조정하는 것 같다"면서도 "D램 수출물가 방향성은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지난해 같은 달과 견줘 보면 수출물가는 0.3%, 수입물가는 6.0% 올랐다.

환율 영향을 제거해 계약통화(실제 계약할 때 쓰는 통화) 기준으로 보면 수출물가는 전월 대비 2.1%, 수입물가는 4.3% 각각 떨어졌다.

porqu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